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경찰과 행정안전부

화성 화재 공장 곳곳 '시한폭탄' 요소 찾는다…경찰, 전방위 수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기남부청, 화재원인 규명 및 불법요소 찾기 위주 수사

사고발생 이전 상황도…경찰 "압수물품 분석 우선 주력"

뉴스1

경찰과 소방 당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고용노동부 등으로 구성된 합동감식단이 25일 경기 화성시 리튬전지 제조 업체 '아리셀' 공장 화재 현장에서 합동 감식을 하기 위해 투입되고 있다. (공동취재) 2024.6.25/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화성=뉴스1) 유재규 기자 = 23명이 사망한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 사고를 수사중인 경찰이 화재 원인을 규명하는 조사와 함께 소방시설 작동 및 구조물 변경 여부 등 불법요소가 있었는지 등 전방위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이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압수물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석연찮은 정황들을 속속 발견, 사고발생 이전부터 화재원인, 과정, 불법요소까지 회사 전반을 들여다 보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 아리셀화재사고수사본부는 28일 경기 화성시 서산면 전곡해양산업단지 내 아리셀 공장, 인력업체 메이셀, 한신다이아 등에서 확보한 압수물 분석에 주력 중이다.

압수 품목에는 리튬 배터리 제조공정 전반과 안전분야 관리 서류 및 전자장치, PC하드디스크 등이며 임의제출 받은 사고책임자 및 관련자의 휴대전화 등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지난 24일 화재가 발생했던 때부터 '방화문 구축' '피난구유도등 설치' 등 소방시설 적법 여부 문제도 따지고 있다.

소방시설이 적법하게 구축됐다면 인명피해는 다수 줄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특히 출입구 상단에 부착하는 피난구유도등은 아무리 한글을 읽을 줄 모르는 외국인이라도 대피장소로 유도하는 등이기 때문에 반드시 설치가 됐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이 이번 화재 사고를 '열 폭주'(thermal runaway)에 의해 일어난 대형참사로 진단하고 있는 가운데 이같은 사고 위험을 사전에 알고 방지하지 못한 경영진들의 책임도 묻겠다는 입장이다.

이번 화재 사고가 난 공장은 '군용 배터리'가 보관돼 있었고 배터리 셀 하나에서 발생한 불똥이 튀면서 다른 배터리에 충돌, 연쇄적 폭발식으로 화재가 일어났다.

연쇄폭발 가능성이 높은 배터리 공장임을 감안하면, 전문가들은 리튬이온 배터리는 일정간격을 두고 보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아리셀에는 3만5000여개가 불이 발생한 3동 내 2층의 규모 1185㎡에 동시 보관돼 있던 것으로 파악됐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는 리튬과 같은 위험물질은 작업장 외, 별다른 장소에 보관 해야 한다고 적시돼있다. 공개된 화재당시 폐쇄회로(CC)TV 영상만 보더라도 장소를 분리해 보관돼 있지 않았음이 확인된다. 경찰 수사에서도 이같은 정황을 확인해 위법하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1

27일 오전 경기 화성시청 로비에 마련된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사고 추모분향소'에서 시민들이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있다. 2024.6.27/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불법 구조물 변경에 대한 수사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건축 허가를 받았다는 해당 건물의 평면도에는 일부 벽면(가벽)이 세워져 있는 것으로 표시됐지만 화재가 있었던 당시에는 가벽이 일체 없는 공간으로 돼있었다.

가벽을 철거할 때 신고하지 않은 점 등 평면도와 달라 소방의 진압작전에 혼선을 줬다는 여지가 있었다면 이 부분도 경찰 수사망에 들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밖에도 화재가 발생하기 세 달 전에 화재안전컨설팅 자리에 불참한 점, 지난 22일 119에 신고하지 않고 자체 진압으로 2동 내 1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있었다는 점 등 대형화재를 사전에 막을 수 있었던 정황도 수사과정에서 따질 방침이다.

경찰은 이번 사건에 강도높은 속도감 있는 수사를 보여주고 있다. 지난 26일에 이어 추가 압수수색 여부는 압수물 분석 후에 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면서 "추가 입건자도 더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ko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