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네웹’의 나스닥 데뷔, 몸값 단숨에 ‘4조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종 공모가 주당 21달러 책정

‘아시아의 디즈니’ 꿈에 ‘성큼’

경향신문

미국 나스닥 시장으로 향한 네이버웹툰이 주당 21달러(약 2만9000원)로 공모가를 확정해 4조원에 육박하는 몸값을 인정받게 됐다. 실탄을 확보해 ‘아시아에서 시작한 글로벌 규모의 포스트 디즈니’가 되겠다는 꿈을 정조준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웹툰 본사이자 미국 법인 웹툰엔터테인먼트는 27일 최종 공모가를 희망 범위인 주당 18∼21달러의 상단인 21달러로 확정했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종목코드 ‘WBTN’으로 현지시간 27일부터 나스닥에서 거래된다. 회사는 보통주 1500만주를 발행해 3억1500만달러(약 4400억원)를 조달할 계획이다.

공모가 상단 가격을 적용한 상장 후 기업가치는 27억달러(약 3조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2000년대 초반 국내에서 싹을 튼 웹툰은 한국이 글로벌 플랫폼을 주도하는 거의 유일한 콘텐츠 분야다. 2005년 서비스를 시작한 네이버웹툰은 지난 1분기 기준 150여개 국가에 진출해 월간 활성화 이용자(MAU) 1억6900만명을 거느린 글로벌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웹툰 산업의 성장이 정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수익성을 개선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지난해까지 내리 순손실을 내다가 올해 1분기에야 623만달러의 순이익을 냈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현지 지식재산(IP) 사업 확장으로 돌파구를 마련할 가능성이 크다. 만화 애니메이션에서 출발한 디즈니가 실사 영화를 만들고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사업까지 손을 뻗은 것처럼 IP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구상하고 있다. 지난해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 가운데 절반이 <스위트홈2> <마스크걸> 등 네이버웹툰 작품이 원작이었다.

영상제작 자회사 스튜디오N의 제작 역량도 키우고 있다. 네이버웹툰의 <머니게임>과 <파이게임>을 원작으로 한 넷플릭스 드라마 시리즈 <더 에이트 쇼>에 참여한 게 대표적이다. 북미에선 3년 전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를 인수하고 왓패드웹툰스튜디오를 설립해 영상화 작업에 한창이다. 창작자의 생산성을 높이고 독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인공지능(AI) 기술 투자 확대도 꾀한다.

상장 완료 후에도 네이버의 웹툰엔터테인먼트 지분은 63.4%로, 지배주주로서 이사 선임 권한을 보유한다. 증권가에선 자회사 중복 상장이 모회사인 네이버 기업가치 하락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와, 주가 반등의 촉매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공존한다.

노도현 기자 hyunee@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