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브랜드는 약한데… '시총 강자' 엔비디아의 역설 [Global]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정덕 기자]
더스쿠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 빛과 그림자]

약한 브랜드, '시총 강자'의 역설

인공지능(AI) 반도체 선두주자인 엔비디아가 최근 미국 주식시장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 애플 등과 시가총액 1위 자리를 놓고 다투고 있다. 올해 들어 주가가 크게 오르면서다. 실제로 지난 18일(현지시간)엔 시총 3조3400억 달러(약 4643조6020억원)를 기록해 1위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엔비디아의 브랜드 인지도는 MS나 애플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지난 22일 미국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세계 최대 브랜드컨설팅 전문업체인 인터브랜드가 조사하는 브랜드 순위 '톱 100' 조사에서 상위 100위권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반면 엔비디아와 시총 1위 경쟁을 벌인 애플과 MS는 같은 조사에서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3위는 아마존, 4위는 구글, 5위는 삼성전자였다.

엔비디아가 브랜드 순위 100위권에 들지 못한 건 B2B(기업 대 기업) 거래가 대부분이기 때문이지만, 이로 인해 엔비디아의 가치가 평가절하될 여지도 있다. 인터브랜드의 경제 이사 그레고리 실버먼은 "엔비디아는 시총이 크지만, 약한 브랜드 인지도로 기업가치가 제한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주목할 점은 엔비디아의 브랜드 인지도가 최근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는 점이다. 인터브랜드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 엔비디아의 브랜드 인지도는 4배 좋아졌다. 인터브랜드는 "다음 순위 조사에서는 (엔비디아 인지도) 순위가 더 큰 폭으로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칸타르도 매년 발표하는 '칸타르 브랜드Z 톱 100'에서 엔비디아는 이전 조사보다 18계단 뛰어오른 6위로, 브랜드 가치는 1년 만에 178% 늘어난 2020억 달러(약 280조7194억원)로 평가됐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부자세 올리자는 美 자산가들]

美 자산가 60% "부자증세 찬성"

미국 중산층 이상 자산가 상당수가 부자증세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 23일(현지시간) 여론조사업체 유고브가 자산 100만 달러 이상인 미국인 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의 60.0%가 연 1억 달러 이상 소득자에게 부과하는 최고세율을 기존 37.0%에서 더 올려야 한다고 답했다.

더스쿠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소득세를 올려야 하는 이유로 응답자들은 확산하는 불평등이 민주주의를 위협한다는 점을 꼽았다. 전체의 91.0%(이하 복수응답)는 '부의 지나친 편중으로 인해 정치적인 영향력을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을 우려한다'고 답했다. '부자들이 일반 납세자가 쓰지 못하는 허점과 전략으로 세금 납부를 피하기 때문'이란 답변은 75.0%에 달했다.

증세는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공약한 대선의 주요 쟁점이기도 하다. 바이든 대통령은 자산 1억 달러 이상인 부유층에게 부유세 25.0%를 거두거나 소득세 최고세율을 현행 37.0%에서 39.6%로 상향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반면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소득세를 인하 또는 폐지하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부족한 세수는 관세를 올려 충당하겠다는 게 트럼프 측의 구상이다.

조사를 의뢰한 시민단체 '애국하는 백만장자들'의 모리스 펄 대표는 "미국의 대부분 백만장자는 불평등이 국가를 불안정하게 만든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너무 늦기 전에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혁기 더스쿠프 기자

lhk@thescoop.co.kr

[중국 물들인 복권 열풍]

'복권 꽃다발' 선물하는 젊은 왕서방

경기 둔화와 취업난의 영향으로 중국 젊은이들이 복권 구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6월 24일 중국 소액 즉석 복권인 '과과러刮刮乐'의 품절 사태가 벌어졌다고 보도했다. 과과러는 종류별로 장당 10위안(약 1900원), 20위안(약 3800원), 30위안(약 5700원)짜리의 소액 복권이다.

중국 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 복권 판매액은 1495억 위안(약 28조4800억원)을 넘어섰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9.7% 증가한 규모다. 이중 과과러의 판매액은 390억 위안(약 7조4290억원)으로 전체의 26.1%를 차지했다. 특히 과과러의 판매액은 전년 대비 81.4% 늘었다.

더스쿠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과과러는 중국 젊은이들이 스트레스 해소와 재미를 위해 구매하던 소액 복권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많은 복권 판매소에서 과과러가 동나 살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중국 언론들은 과과러가 유행하는 이유로 중국의 경기침체와 취업난을 꼽았다. 젊은이들이 돈을 쉽게 벌 수 있는 방법으로 복권을 선택하고 있다는 거다.

SCMP는 "이같은 현상은 지난 4월부터 베이징北京과 저장성浙江省 등에서도 벌어지고 있다"며 "많은 젊은이가 과과러를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지름길로 여긴다"고 전했다. 더불어 "복권으로 만든 꽃다발이 선물로도 쓰이고 있다"며 "과과러가 소셜미디어에 자주 등장하면서 젊은이 사이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중국의 복권 산업은 최근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내 복권 관련 회사는 2022년 대비 4512개 증가하며 10년 만에 최대 성장률을 보였다.

성장세는 올해도 계속되고 있다. 올해 1∼4월 전년 대비 158.92% 증가한 2105개의 복권 관련 회사가 신규 등록했다. CCTV에 따르면 중국 전역에 등록돼 있는 복권 관련 회사는 1만4700개에 달했다. 자오시윈 인민대 교수는 "과과러는 비싸지 않고 상금도 크지 않다"며 "경제적 이유로 과과러를 사는 젊은이들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英 기준금리 동결 後]

BOE, ECB와 '다른 길' 걸은 이유

영국 보수당이 총선을 앞두고 기대했던 기준금리 인하는 이뤄지지 않았다. 6월 20일(현지시간)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은 통화정책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5.25%로 유지하기로 했다. 통화정책위원 9명 중 7명이 금리동결을 지지했다.

영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무산된 건 예상 밖의 일이다. 기준금리 결정 전날인 19일 영국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2.0%로 BoE가 목표치로 내세웠던 2.0%를 달성했기 때문이다.

2022년 10월 11.1%에 달했던 영국의 CPI 상승률이 2년도 되지 않아 5분의 1 수준으로 꺾였으니, 금리 인하가 확실한 듯했지만 BOE의 선택은 달랐다. 이는 지난 6일 기준금리를 3.75%로 0.25%포인트 인하한 유럽중앙은행(ECB)과 다른 행보이기도 하다.

더스쿠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ECB는 5월 유로존 물가상승률이 2.6%를 기록했지만 기준금리를 끌어내렸다. 목표치인 2.0%를 달성하지 못했음에도 물가가 관리되고 있다는 판단을 내렸기 때문이다.

BOE의 결정으로 영국 보수당은 난처한 상황에 빠졌다. 집권 보수당의 리시 수낵 총리는 총선을 반년 앞당겨 오는 7월 4일 실시한다고 밝혔다. 여론조사에서 열세인 보수당이 인플레이션 완화와 기준금리 인하를 통해 지지율을 높이려 했지만 기준금리 동결로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보수당의 바람과 달리 영국이 기준금리를 낮추기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BOE는 기준금리 동결 결정을 내린 직후 발표한 성명을 통해 "물가 상승을 지속하는 주요 지표는 완화적 측면도 있지만 여전히 상승세"라며 "물가 상승이 2% 목표치를 초과할 위험이 사라질 때까지 기준금리 인하가 어려울 것이란 기존의 입장엔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최아름 더스쿠프 기자

eggpuma@thescoop.co.kr

<저작권자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