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다음 목표는 10억명” 어느덧 월간 사용자 3억1000만명 도달한 ‘센드버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27일 오전 서울 삼성동 센드버드코리아 사무실에서 미디어 간담회를 가진 미국 실리콘밸리 유니콘 센드버드의 김동신 대표. /안상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일 10억명이 넘는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이 저희의 비전(목표)입니다.”

27일 서울 삼성동 센드버드코리아 사무실에서 미디어 간담회를 가진 김동신 센드버드 대표는 “처음 시작할 때는 이용자가 1000만명만 넘어도 참 대단하겠다 싶었는데, 벌써 월간 3억1000만명이 (센드버드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며 한 말이다.

미국 실리콘밸리 유니콘(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 비상장 스타트업)인 센드버드는 기업용 인앱 채팅 서비스 기술을 개발·서비스하는 B2B(기업 간 거래) SaaS(서비스용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서울대 컴퓨터공학과와 엔씨소프트 개발자를 거친 연쇄창업가 김 대표가 2013년 미국에서 설립했다. 센드버드는 그간 기존 앱에 쉽게 탑재 가능한 기업용 채팅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야후·라쿠텐,엘지유플러스·넥슨·국민은행 등 국내외 1400개 기업을 고객으로 끌어들였다. 그렇게 지난 2021년 시리즈 C 투자 라운드에서 1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며 10억5000만달러(약 1조36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월간 활성 이용자 10억명을 새 목표로 제시한 김 대표는 올해 새롭게 출시한 ‘AI 챗봇’과 ‘센드버드 비즈니스 메시징(SBM)’를 목표 달성 수단으로 내세웠다. 챗GPT 등 기존의 생성형 AI 기술 기반으로 코딩 작업 없이도 기존 웹사이트에 고객 대응 및 분석용 AI 챗봇을 손쉽게 구현하는 서비스와 각종 앱이 고객에게 보내는 푸쉬 메시지·알림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SBM)가 앞으로의 사업을 이끌 것이라 본 것이다.

김 대표는 특히 기업들이 각종 프로모션이나 이벤트, 처리 결과 등을 고객들에게 알리기 위해 쓰는 비즈니스 메시지가 큰 시장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문자 사기(스미싱)가 어마어마하다”며 “문자나 카톡 메시지 채널은 사기에 이용되는 등 보안 취약성이 크기 때문에 서비스 앱 내에서 작동하는 알림 서비스는 큰 시장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채팅 사업이 매출 비중이 크지만 앞으로 2년에 걸쳐 신규 사업의 매출 기여가 기존 사업보다 더 커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덧붙였다.

[안상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