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SK바사, 글로벌 톱티어 백신회사로 '성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첨단시설 보유한 'IDT바이오로지카' 인수
글로벌 진출 및 수익성 증대 기대


비즈워치

SK바이오사이언스(사진=안재용 사장)는 27일 약 3390억원을 들여 독일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클로케(Klocke) 그룹과 CMO·CDMO(위탁개발생산) 전문 회사 IDT바이오로지카(Biologika) 경영권 지분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 위탁생산(CMO) 글로벌 상위 10위권에 드는 독일 기업을 인수하면서 글로벌 톱티어 백신회사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27일 약 3390억원을 들여 독일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클로케(Klocke) 그룹과 CMO·CDMO(위탁개발생산) 전문 회사 IDT바이오로지카(Biologika) 경영권 지분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독일 자회사를 통해 클로케 그룹이 보유한 IDT 바이오로지카 구주 일부와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되는 약 7500만 유로(약 1120억원)의 신주와 글로케 지분 60%를 약 3390억원에 취득한다. 클로케 그룹은 바이오로지카 지분 40%를 유지하고 약 760억원을 투자해 SK바이오사이언스 지분 1.9%를 신규 확보할 예정이다.

양사는 교차 지분 인수를 통해 IDT 바이오로지카를 공동 운영하며 경영 안정성과 새로운 성장을 함께 도모할 계획이다.

IDT, 바이오의약품 CDMO 전문성 축적

IDT 바이오로지카는 1921년 설립돼 100년 이상의 축적된 전문성과 역량을 바탕으로 독일과 미국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대형 바이오 기업이다. 미국, 유럽뿐 아니라 10개 이상의 핵심 의약품 규제기관으로부터 인정받은 트랙 레코드(의약품 상업생산 실적)를 보유하고 있으며, 공정∙분석법 개발과 함께 임상부터 상업 단계까지 백신∙바이오 전 영역의 원액과 완제 의약품을 생산하고 있다. 직원 규모는 약 1800여명에 달한다. IDT 바이오로지카의 기업가치는 656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IDT 바이오로지카는 미국의 생명과학 분야 전문지 '라이프 사이언스 리더'(Life Science Leader)와 제약·바이오 산업 연구기관인 '인더스트리 스탠더드 리서치'(ISR)가 주관하는 글로벌 시상식인 ‘CDMO 리더십 어워즈'(Leadership Awards)에서 올해 6개 부문 전관왕을 수상할 정도로 탄탄한 사업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15개 이상의 주요 글로벌 다국적 기업은 물론, 다수의 바이오텍, 연구기관들과 오랜 CDMO 파트너십 이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코로나19 백신 외에도 다양한 백신, 바이오의약품의 CMO 경험을 갖고 있다. 대표적으로 뎅기열 백신에 있어 장기간 협력해온 일본 다케다제약이 있다. 특히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 의약품청(EMA) 승인을 획득한 항암 바이러스 치료제 생산이 가능해 SK바이오사이언스의 미래 성장동력 중 하나인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사업으로 진출할 수 있는 역량도 갖추고 있다.

SK바사, 제조 인프라 확보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기업 인수로 △즉각적인 2배 수준의 매출 신장 △미국, 유럽 등 선진국 기준의 품질을 충족하는 생산 역량과 고객 네트워크 확보 △미국과 유럽, 한국 등 글로벌을 잇는 통합 인프라 구축 등의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비즈워치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사장이 27일 간담회를 열고 IDT바이오로지카 인수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SK바이오사이언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IDT 바이오로지카를 통해 △최고 수준의 제조·R&D 인프라 즉시 확보 △넥스트 팬데믹 대응 위한 글로벌 공급망 확장 △신규 바이오 사업 즉각 진출 및 잠재적 생산 기반 확대를 통해 포트폴리오 확장과 함께 글로컬라이제이션(세계화와 현지화 동시 추구하는 경영전략) 실행 가속화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와 함께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한 cGMP(강화된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 수준의 제조 인프라를 확보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겨냥해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항암 바이러스와 세포유전자치료제(CGT) 등 신규 바이오 영역으로 진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개발이 진행중이거나 완료된 다양한 제품들의 생산 기반이 확대돼 공급 시장과 대상을 다변화할 수 있다는 점과 넥스트 팬데믹에 대응할 핵심 공급망을 다양하게 확보한다는 점도 성장전략을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유럽·북중미 지역 거점 활용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지분 인수로 주요 제품군의 유럽,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진출의 활로도 마련하게 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최근 자체 개발 백신에 대한 글로벌 인허가를 진행하며 신규 시장을 개척해 왔다. 확장되는 글로벌 진출 전략에 맞춰 제품 수요도 꾸준히 증가했고 부족한 시설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안동 L하우스의 증축 등 생산량 확대에 대한 논의를 지속해 왔다. IDT 바이오로지카의 우수한 설비를 활용해 현재 SK바이오사이언스가 보유한 다양한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향(向) 공정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IDT 바이오로지카는 유럽 내 백신 생산의 20~30%를 차지하고 있는 독일에 136만㎡ 규모의 부지 내 생산 시설을 갖추고 있고 미국 메릴랜드주에 법인을 보유하고 있다. 향후 SK바이오사이언스가 유럽과 북중미 지역의 거점으로 동시 활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SK와 IDT 바이오로지카의 핵심 역량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파트너십 네트워크의 비약적 확장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CGT를 포함한 백신 외 바이오 의약품으로의 사업 확장이 가능해짐에 따라 신규 시장 진출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목표다.

IDT 매출 기반 수익성 증대도 기대

IDT 바이오로지카는 견조한 매출을 기반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의 재무 성과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IDT 바이오로지카는 코로나19 백신을 위탁생산하던 2022년 3억1200만유로(한화 약 4660억원)로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이후 팬데믹의 일회성 요인이 제거된 지난해에도 약 2억7500만유로(약 4100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안정적인 사업구조를 보였다. 기업의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 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EBITDA(이자, 세금 및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에서도 IDT 바이오로지카는 2022년 3300만유로(약 500억원), 지난해 1600만유로(약 240억원)로 준수한 흐름을 이어갔다.

지난해 매출 실적에서 코로나 백신 외 제품군이 차지한 비중 또한 95%로 높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IDT 바이오로지카의 매출을 2배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영업이익도 매출 대비 20% 이상 수준의 안정적인 구조로 만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신규 과제 및 고객 확보에 적극 나서고 비용 최적화 전략을 통해 공장 가동률을 높이는 한편, 투자비와 운영비 효율화 등의 경영 환경 개선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IDT 인수는 SK바이오사이언스의 성장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강력한 모멘텀"이라며 "기존 대주주인 클로케와 공동경영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와 IDT 바이오로지카는 글로벌 톱티어 회사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했다.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