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6월 기업 심리, 넉 달 연속 개선세지만…여전히 '비관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BSI 2.8p 오른 95.7…제조업 3.0p↑·비제조업 2.5p↑

연합뉴스

6월 기업 심리, 넉 달 연속 개선세지만…여전히 '비관적'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경제 전반에 대한 기업들의 인식이 넉 달 연속 개선됐으나, 여전히 과거 평균보다는 비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6월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보다 2.8포인트(p) 상승한 95.7을 기록했다.

전산업 CBSI는 지난 2월 87.8까지 떨어졌다가 3월(89.4)과 4월(91.3), 5월(92.9), 6월(95.7) 모두 상승했다.

CBSI는 경제 전반에 대한 기업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산출한 통계로, 지수가 100을 밑돌 경우 경제 상황에 대한 기업들의 기대 심리가 과거(2003년∼전년 12월) 평균보다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6월 제조업 CBSI는 전월보다 3.0p 오른 97.4를 기록했다.

제조업 CBSI는 석 달 연속 올랐으며, 지난 2022년 8월(102.1) 이후 가장 높았다.

구성 지수별 기여도를 따져보면, 자금사정(+1.3p)과 업황(+0.9p) 등이 CBSI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6월 비제조업 CBSI는 94.3으로, 전월보다 2.5p 올랐다.

비제조업 CBSI는 넉 달 연속 상승세로, 지난해 9월(98.6) 이후 가장 높았다.

비제조업의 경우 채산성(+1.0p)과 자금사정(+1.0p) 등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7월 CBSI 전망치는 1.3p 오른 93.1로 집계됐다. 제조업은 전월 대비 1.4p 오른 95.1, 비제조업은 전월 대비 1.3p 오른 91.7로 조사됐다.

한은은 기업 심리를 종합적으로 반영하고 기존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의 지속적인 하향 편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이달부터 CBSI를 새로 편제했다.

CBSI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개별 BSI 중 경기 설명력이 높은 지수를 선정해 표준화된 합성지수 형태로 작성됐으며, BSI 통계 작성 시점(2003년 1월)부터 추가로 제공된다.

연합뉴스

기업심리지수, 구성지수 기여도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편 6월 BSI 조사 결과 제조업은 화학물질·제품(업황 +13p, 자금사정 +10p)의 개선세가 두드러졌다. 화장품 해외 수출·산업용 화학제품의 전방 수요가 증가한 영향이다.

반도체 수출 증가로 전자·영상·통신장비(업황 +10p, 자금사정 +10p)도 체감 경기가 나아졌으며, 1차 금속(업황 +7p, 수주 +10p) 역시 중소 업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하면서 BSI가 높아졌다.

비제조업 BSI 가운데서는 도소매업(매출 +8p, 자금사정 +5p) BSI가 상승했다. 산업용 제품 도매업체를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한 영향이다.

부동산업(채산성 +7p, 자금사정 +7p)과 건설업(채산성 +4p, 자금사정 +3p)도 주택 신규 분양 개선과 공공부문 주택·토목 수주 증가, 기존 공사 진행률 개선 등 영향으로 BSI가 올랐다.

BSI에 소비자동향지수(CSI)를 반영한 6월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보다 0.9p 상승한 94.7을 기록했다.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는 92.7로, 5월과 같았다.

이달 조사는 지난 12∼19일 전국 3천524개 법인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중 3천331개 기업(제조업 1천863개·비제조업 1천468개)이 설문에 응했다.

ssu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