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개미 땡큐” 외인, 韓 주식 역대 최고 순매수…개인은 순매도 ‘최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코스피 지수가 2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한 24일 서울 영등포구 KB국민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이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9.53(0.70%)포인트 하락한 2764.73을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0.70(0.05%)원 상승한 1389.0원을 나타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투자자들이 20년 만에 최대 규모 순매수를 기록 중인 반면, 개인투자자는 2012년 이후 역대급 '팔자'에 나서고 있다. 외국인과 개인의 국장에 대한 투자 심리가 엇갈리는 가운데 코스피 지수는 외국인 수급에 힘입어 2년 5개월 만에 2800선을 돌파하며 하반기 증시 훈풍이 예고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하반기 코스피 밴드 전망을 3000선까지 높여 잡고 있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투자자는 올해 들어 21일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사상 최고치인 22조5423억 원을 순매수했다. 종전 연간 최고 기록인 2004년(12조 원)의 2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반면 개인투자자는 2012년 이후 최대 순매도 규모를 경신하며 적극적인 차익실현에 나섰다.

개인은 7조9000억 원을 순매도하며 2012년(-3조7510억 원) 규모를 뛰어넘었다. 개인들이 이 기간 현대차 한 종목에서만 무려 3조8580억 원을 순매도했다. 연초 정부가 주도한 증시 부양 프로그램의 영향으로 현대차는 호실적에 따른 저PBR(주가순자산비율)과 주주가치 환원이 눈에 띄었다. 이에 주가가 한 주당 30만 원 직전까지 급등하자 개인들은 적극적인 차익실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가장 많이 순매도한 종목은 삼성전자(-3조1250억 원), SK하이닉스(-1조4000억 원), 삼성전자우(-1조1750억 원)이었다. 최근 엔비디아를 비롯한 미국 인공지능(AI) 반도체주의 급등으로 삼성전자 주가가 '8만전자'를 돌파하자 국내 반도체주들을 공격적으로 팔아치운 것이다. 순매도 5~7위 역시 기아(-1조1370억 원), 삼성물산(-8430억 원), KB금융(-6170억 원)으로 밸류업 수혜로 올해 들어 급등한 종목들이다.

반면 외국인들은 개인들이 매도한 물량을 고스란히 받아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수 상위 종목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 삼성물산, 삼성전자우, 기아 등이 올랐다. 외국인들은 국내 대형주들을 싸그리 사들이면서 랠리를 주도했다. 코스피 지수는 2700선을 탈환하며 추세적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4거래일 연속 상승한 코스피는 이날 19.53포인트(0.7%) 내린 2763.73으로 장을 마쳤다. 외국인투자자는 이날도 삼성전자를 1610억 원 넘게 순매수하며 저가매수에 나서는 모습을 보였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주도주 차익실현 이후 순환매 시그널일 가능성이 높다"며 "오는 28일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발표를 앞두고 있지만,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순매도는 아니다"라고 짚었다.

외국인투자자들의 국내 주식 매수세는 3분기 들어 더 강력해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국내 기업들은 2분기 호실적이 예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코스피 상장사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57조4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한 달 전보다 약 1% 증가한 수준이다.

신승진 삼성증권 연구원은 "증시 대기 자금으로 볼 수 있는 고객예탁금이 지난 연말과 큰 차이가 없음을 생각해보면, 국내 시장 매도 자금의 대부분이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 투자로 갔다고 볼 수 있다"며 "외국인투자자의 대규모 순매수는 개인과 기관 매도를 모두 외국인이 받아준 셈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내 및 해외 투자를 선택하기에 앞서, 현시점에 가장 유망한 기업이 어디인가에 대한 선택이 선행되어야 한다. 투자자에게 있어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단기 수익률만 보고 주식에 접근하는 것이기 때문"이라며 "국내 기업의 성장 잠재력을 과소평가하고, 단기 수익률에 급급해 해외 주식에 달려드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코스피 밸류에이션 부담은 현재 12개월 선행 주당순이익(EPS)의 증가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낮아지고 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2개월 선행 PBR 기준으로도 KOSPI 3000포인트 돌파는 무리한 수치가 아니다"라며 "미국 경제의 성장은 한국의 대미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수출 호조는 기업 이익 증가를 지속시켜 KOSPI 상승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투데이/정회인 기자 (hihello@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