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불난 아리셀은 ‘리튬 일차전지’ 회사… “전기차 배터리와는 무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4일 화재가 발생해 대규모 사상자를 낸 아리셀 공장은 리튬 일차전지를 만드는 곳이다. 리튬 일차전지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와 달리 한 번 방전되면 버려야 하지만, 에너지 효율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조선비즈

24일 경기 화성시에 위치한 일차전지 제조 공장 아리셀에서 화재가 발생해 소방대원들이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리셀은 리튬 일차전지를 제조·판매하는 것을 주력 사업으로 한다. 회사 제품은 주로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에 쓰이는 스마트미터기, 위치추적장치, 휴대용 가전기기 및 의료기기, 군용시스템 등에 활용된다.

리튬 일차전지는 방전만 되는 일종의 건전지로, 전기차와 함께 주목받는 이차전지 업계와는 크게 관련 없다. 아리셀의 모회사 에스코넥은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에 쓰이는 이차전지 부품을 주요 배터리사에 납품 중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에스코넥의 이차전지 부품 사업은 이번 화재와는 무관하다”며 “에스코넥 주요 공장은 경기 광주시, 안성시 등에 위치해 있고 화성 공장은 리튬 일차전지 전용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통상 리튬 배터리 화재는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에 의해 발생한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액 등으로 구성되는데, 분리막이 손상되면 양극과 음극이 접촉해 과열되면서 화재와 폭발이 일어난다.

이날 화재는 오전 10시 30분쯤 공장 내 2층짜리 건물인 3동 2층에 있던 리튬 일차전지 1개에 불이 붙으면서 시작됐다. 당시 같은 층에는 원통형 리튬 일차전지 3만5000여개가 보관돼 있던 것으로 전해진다.

리튬 배터리는 화재가 발생하면 진화가 어렵고, 내부에서 계속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불이 꺼진 것처럼 보여도 완전히 연소된 게 아닌 경우가 많다. 불이 나면서 다량의 불산가스를 발생시켜 진화 인력이 건물 내부로 진입하기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이번 화재는 리튬 일차전지 내 폭발 위험이 있는 리튬 함량이 낮아 소방당국은 일반 화재처럼 물을 사용해 불을 진화했다고 밝혔다. 당초 소방당국은 마른 모래 등을 활용해 진화하는 방식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유정 기자(yoo@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