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소설가 정지돈, 전 연인의 과거 일화 '무단 인용' 의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설 '야간 경비원의 일기' '브레이브 뉴 휴먼' 논란

과거 교제 여성, 문제 제기하며 사안 인정과 사과 요구…작가는 관련성 부인

연합뉴스

정지돈 소설 '야간 경비원의 일기'와 '브레이브 뉴 휴먼'
[현대문학·은행나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용래 기자 = 소설가 정지돈(41)이 과거 연인 관계였던 여성의 사생활 속 일화들을 사전 조율이나 허락 없이 자기 작품 속에 실명과 함께 차용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독서 관련 유튜버로 활동 중인 김현지(활동명 김사슴) 씨는 최근 자신의 블로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 글을 올리고 정 작가의 2019년 소설 '야간 경비원의 일기'(현대문학)와 올해 발표한 장편 '브레이브 뉴 휴먼'(은행나무)에서 자신의 내밀한 이야기가 인용됐다면서 작가에게 사안에 대한 인정과 사과, 재발 방지를 요구했다.

김씨에 따르면 2017년 스토킹에 시달리던 그는 이 시기 정 작가와 만나 교제를 시작해 2019년 초까지 연인 관계로 지냈다. 이 시기 정 작가와 나눈 자신의 거의 모든 이야기가 이별 후부터 그의 소설 작업에 쓰였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김씨는 정 작가가 2019년 11월 출간한 소설 '야간 경비원의 일기'에 나오는 여성 '에이치'(H)가 자신을 자세히 적은 것이라면서 "에이치라는 인물이 겪고 있는 이야기는 대부분 내가 실제로 겪은 일"이라고 했다.

그는 에이치가 "밸런스만큼 시시한 건 없다"고 한 부분, 연락이 잘 안되는 부분, 스토킹을 기점으로 '나'와 에이치가 가까워지는 과정에 대한 문장들은 실제 사건과 흐름이 일치하고, 작품 속 에이치처럼 자신도 선유도역 근처에 살고 있었다고 말했다.

소설에는 '에이치'가 스토킹에 시달리다가 화자인 '나'와 만나 어릴 적 이야기를 나누고 성관계를 나누는 장면도 등장한다.

김씨는 또 정 작가가 올해 발표한 장편소설 '브레이브 뉴 휴먼'에 등장하는 '권정현지'라는 인물도 자신의 이름을 그대로 쓴 데다, 가정사까지도 상당 부분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SF 장편인 '브레이브 뉴 휴먼'의 등장인물 여성 '권정현지'는 인공자궁에서 태어나 미래 사회에서 차별받는 존재로, 다른 등장인물 '아미'가 두 명의 남자와 성관계하는 여자를 '현지를 닮은 사람'이라 인식하는 대목에도 나온다.

김씨는 "이 글을 읽자마자 권정현지의 이야기가 그와 사귀는 동안 제가 말한 저의 이야기임을 알았다"고 주장했다.

김씨는 최근 정 작가에게 무단 인용 인정과 사과, 재발 방지 약속을 요구하는 메일을 보냈다고 밝혔다.

김씨가 블로그 등에 공개한 내용 따르면 정 작가는 김씨에게 보낸 메일에서 "'브레이브 뉴 휴먼'의 경우 이름, 캐릭터 모두 너와 관련이 없다"고 썼다. '야간 경비원의 일기'는 "H는 가능한 변형을 했고 그 내용을 너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고 생각했다"고 주장했다.

현재 김씨는 정 작가의 사과 외에도 자신이 문제를 제기한 작품의 출고 중지를 요구하고 있다. 연합뉴스는 정지돈 작가의 입장을 듣기 위해 수차례 연락을 시도하고, 문자 질의 등을 했으나 답변을 얻지 못했다.

연합뉴스

소설가 정지돈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런 비슷한 일은 4년 전에도 있었다.

2020년에 김봉곤 작가가 지인들과 나눈 사적인 대화 내용을 동의 없이 인용했다는 논란에 휩싸였고 그의 소설이 시중에서 판매 중단되기에 이르렀다. 당시 출판계에서는 작가의 고유한 창작의 자유와 실존 인물의 명예 훼손 가능성이 충돌한 이 사안으로 관련 논쟁이 촉발되기도 했다.

정지돈의 '브레이브 뉴 휴먼'을 펴낸 은행나무 출판사는 작가와 논의를 거쳐 필요한 조처를 하겠다고 밝혔다.

은행나무 측은 "해당 논란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들인다. 소설이 출간되기 전까지 문제 제기한 부분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 향후 작가와 논의해 필요한 조치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yongla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