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日 MZ도 디토 소비 열풍…K팝 아이돌 착용? 매출 ↑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들의 스타일을 주체적으로 받아들여 소화하는 '디토(Ditto)' 소비가 일본 MZ세대 사이에서도 빅 트렌드로 자리잡는 모양새다. K팝 아이돌이 착용만 하면 매출 상승으로 직결되는 등 일본 내 K패션 시장이 K문화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대표적으로 패션 브랜드 '바잘(VARZAR)', 영 클래식 브랜드 '로라로라(rolarola)'를 비롯해 '와이케이(WaiKei)', '키르시(KIRSH), '잇자바이브(ITZAVIBE)', '레인세인(P:ReinSein)' 등이 있다.

이베이재팬이 운영하는 온라인 오픈마켓 '큐텐재팬'이 최대 할인행사 메가와리(6/1~6/12)에서 하이퀄리티 패션 서비스 '무브(MOVE)'의 K패션 판매 현황을 분석한 결과, K셀러 바잘 제품 판매량이 지난 3월(1일~12일) 행사 대비 2배 이상(156%) 크게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 작년 6월과 비교해서도 44% 상승하며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바잘은 한국 내 유명 셀럽 및 패션 관련 인플루언서들이 애용하는 브랜드로, 트와이스와 BTS 등 많은 연예인들의 착용 이슈까지 더해져 일본 내에서 베스트셀러로 자리매김한 K 패션 브랜드다.

바잘의 대표 상품 '스터드 로고 오버핏 볼캡'의 경우 누적 매출 60억원, 상품 리뷰수 2만2000개 이상 등 큰 성과를 올리고 있다. 바잘은 이번 6월 행사 기간 12일 동안 2억엔의 판매고를 올렸고, 대표 상품이 '무브' 패션 카테고리 전체 1위를 차지하는 등 일본 내 K패션 인기를 주도하고 있다.

와이케이, 키르시 아이템도 라이즈(RIIZE), 아일릿(ILLIT) 멤버가 착용하며 일본에서 K팝 스타 덕을 톡톡히 보고 있는 대표적인 브랜드다.

와이케이의 경우 6월 메가와리 기간 제품 판매량이 전년 행사 대비 47%, 직전 3월 행사 대비 2배(100%) 증가했다. 키르시의 대표 제품 '키르시 반소매 티셔츠 세트'는 이번 메가와리 행사 기간 중 '무브' K패션 랭킹 3위에 올랐다. 키르시는 티셔츠 인기에 힘입어 이번 행사 기간 중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직전 행사 대비 61% 증가했다.

일본 내 K팝 스타들의 영향력이 커지며 K패션 전체 수요도 견인하고 있다. 이번 메가와리에서 '무브' 패션 랭킹 톱10에 K패션 제품 5개가 올랐다. K제품의 매출 비중도 전체의 42%를 차지하는 등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특히 로고 레터링 티셔츠, 모자, 수영복, 원피스 등이 큰 인기를 얻었다.

K패션 인기는 '무브'의 K셀러와 K제품 수 증가 추이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론칭 직후인 2022년 4월 200명 수준이던 입점 K셀러 수는 올 4월 기준 800명을 넘어섰다.

같은 기간 등록된 K패션 제품 수도 2만개에서 20만개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K패션을 찾는 일본 고객들이 급증하면서 일본에 진출하려는 K셀러가 급격히 많아진 결과다.

이베이재팬의 김계훈 패션실장은 "일본에서 K문화 열풍이 확산하고 디토 트렌드가 맞물리면서 K팝 스타가 입기만 하면 바로 매출로 직결되는 성공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며 "일본 MZ 세대들의 소비 문화를 반영해, 앞으로도 기본 패션 아이템은 물론 액세서리, 스포츠 카테고리, 피트니스웨어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K패션을 강화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