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삼성전자, 지난해 24조원 R&D 투자 ‘압도’…2~10위 합계 넘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3년 1000대 기업 72.5조원 R&D 투자, 8.7% 증가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김문기 기자] 삼성전자의 지난해 R&D 투자금액은 약 23조9000억원 수준으로 2위부터 10위까지 R&D 투자금 합계를 뛰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원장 민병주)은 2023년 국내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의 R&D 투자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공시대상 상장기업 및 기타외감법인 중 2023년 개별 감사보고서 기준으로 국내 R&D 투자액 상위 1000대 기업이다.

지난해 국내 R&D 투자 상위 1000대 기업의 매출액은 2.8% 감소했으나 R&D 투자액은 2022년 대비 5조8000억원(8.7%)이 늘어난 72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매출액 대비 R&D 투자액 비중은 3.9%에서 4.4%로 증가해 국내 R&D 투자를 견인했다.

투자규모 상위 10대 기업이 총 45조5000억원, 50대 기업이 총 56조6000억원을 투자해 각각 1000대 기업 전체 R&D 투자의 62.7%, 78.1%를 차지하였다. 1조원 이상 투자한 기업은 삼성전자, 현대차, SK하이닉스, 엘지전자 등 9개 기업이다. 삼성전자 투자액은 2~10위 기업 합계 21조6000억원보다 큰 23조9000억원(전체의 32.9%)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000대 기업에는 대기업 171개, 중견기업이 491개, 중소기업이 338개 포함됐다. 중견기업 중에서는 엔씨소프트(4,671억원, 17위), 한국항공우주산업(4,088억원, 19위), 중소기업 중에서는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797억원, 69위)이 가장 많이 R&D 투자를 하였다. 특히, 중견기업은 ’14년 407개에 비해 84개가 증가했고, 상위 100대 기업 내 33개 중견기업이 포함되어 혁신생태계에서 점차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내 1000대 기업은 R&D 투자를 지난 10년간 연평균 6.6% 이상 확대해 왔으나, 2022년 기준 글로벌 R&D 투자 상위 2,500대 기업 중 우리나라 기업은 47개에 불과하며 미국(827개), 중국(679개), 일본(229개), 독일(113개) 등 주요국뿐만 아니라 대만(77개)에도 뒤진 9위를 기록하였으며 50위 권에는 삼성전자(7위)만 포함됐다.

이민우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기업 R&D 투자 증가는 산업기술 혁신을 견인하였으나, 글로벌 기업과 비교시 국내 기업의 R&D 투자액은 매우 적은 편이다”고 언급하며 “민간이 투자하기 어려운 차세대 기술, 도전·혁신 분야에 대해서는 정부의 마중물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