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재명, '당대표 사퇴' 다음주 결정…내달초 전대준비위 출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민주 "당 대표 사퇴 시점·여부 결정된 바 없다"

2년 뒤 지선 공천권 행사 가능…차기 대권가도 탄탄

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4.6.21/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구진욱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표의 당 대표직 연임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을 마무리하면서, 이 대표의 전당대회 출마 전 대표직 사퇴 시점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대표의 '일극 체제'가 더욱 견고해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당 내외 인사는 물론 지도부 내에서도 대표 연임을 지지하고 있어 이 대표의 결단만 남은 상황이다.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대표는 다가오는 8월 전당대회 출마 여부와 함께 현재 역임 중인 당 대표직 사퇴 시점 등을 고민 중이다.

황정아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사퇴 여부와 시점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사퇴 여부에 대해서는 결정이 되지 않았나 생각이 된다"며 "사퇴 시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정해지진 않았다"고 말을 아꼈다.

민주당 공보국은 이날 사퇴 여부와 시점에 대해 "당 대표의 사퇴 여부와 시점은 결정 된 바 없다"고 밝혔다.

앞서 이 대표도 지난 19일 당 대표직 연임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아직 고민 중이다"고 답했다.

지난 17일 민주당은 대선에 출마하려는 당 대표의 사퇴 시한에 예외를 둘 수 있도록 한 당헌 개정을 최종 확정하면서 이 대표의 연임을 위한 포석을 깔았다. 대선이 있기 1년 전에 당 대표직을 내려놔야 한다는 당권·대권 분리 당헌은 사실상 폐기됐다.

이 대표가 당 대표 연임을 할 경우 2026년 6월 예정된 '지방선거 공천권'을 행사한 뒤에 대표직에서 물러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대로라면 이 대표는 2027년 3월 대선에 출마하기 위해선 2026년 3월 이전에는 사퇴를 해야 했다.

2년 뒤에 있을 지방 선거에서도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게된 이 대표는 다가올 지방 선거승리를 통해 자신의 대권 가도를 보다 더 튼튼하게 다질 수 있게 됐다.

당헌·당규 개정과 더불어 당 내외 인사와 지도부에서도 이 대표의 당 대표 연임을 지지하고 나서는 가운데 이 대표의 연임은 거의 확실시 된다고 정치권은 분석하고 있다.

장경태 민주당 최고위원은 전날(20일) YTN라디오에 출연해 "(총선 후) 대표께 연임해야 된다고 건의를 드렸다. 개인적으로는 힘드시겠지만 당을 위해선 또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대표의 연임을 두고 일각에서는 이 대표의 '일극 체제'에 대한 견제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같은 YTN라디오에 출연해 이 대표를 위한 당헌·당규 개정이라는 일각의 비판에 대해서 "실제 당 대표 연임에 나서게 된다면 '위인설규'이다 라는 비판을 소지가 높아질 것이다"며 "이재명 대표가 대통령 출마를 위해서 당 대표 임기가 다 되지 않았는데 사퇴한다면, (추후) 그런 오해의 소지들 비난의 소지들을 또 잠재울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한편, 이 대표가 당 대표직을 연임하기 위해선, 8월 전당대회를 위해 다음 달 초 꾸려질 선거관리위원회가 후보 등록을 받기 전까지 대표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민주당 당규가 ‘당대표 및 최고위원, 전국위원장, 시·도당위원장 후보자는 후보자 등록 전까지 지역위원장을 제외한 모든 당직을 사퇴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황 대변인은 이날 오전 이 대표가 다음주에 꾸려질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 출범 전까지 사퇴할 것이냐는 질문에 "네"라고 답했다. 다만 이날 오후 민주당 공보국을 통해 "당 대표에 대한 사퇴 여부와 시점 등이 아직 결정 되지 않았다"며 발언을 번복했다.

이 대표와 더불어 전당대회에 차기 최고위원으로 '친명(친이재명)계" 민형배 의원이 출사표를 던졌으며, 김민석·한준호·강선우 의원 등이 현재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kjwowe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