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중국 외교부, ‘한·중외교안보대화는 북·러 견제와 무관’ 선 그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외교부가 한·중 첫 외교안보 2+2대화를 개최한 것과 관련한 보도자료를 내면서 “타국 교류와 관련성이 없다”고 밝혔다. 북·러 정상회담이 예정된 날 서울에서 한·중 외교·국방부 대화가 열린 것을 두고, 중국이 한국의 북·러 견제에 합류하는 형국으로 일각에서 의미부여한 데 선을 그은 셈이다.

세계일보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지난 18일 한중 외교안보대화 참석 차 방한한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을 접견해 양국 간 협력 모멘텀 유지 중요성을 강조하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에 우려를 표명했다. 외교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일 주한 중국 대사관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는 지난 18일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 장바오췬 중국 중앙군사위 국제군사협력실 부주임, 김홍균 외교부 1차관, 이승범 국방부 국제정책관이 차관급 외교안보 대화를 연 자리에서 “한국 측은 북∙러 간 교류와 협력에 대해 언급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북∙러는 우호적이고 가까운 이웃으로 교류∙협력과 관계 발전의 정상적인 필요성이 있고 이와 관련한 고위급 교류는 두 주권 국가 간의 양자 일정”이라고 했다. 또 “아울러 중한 양국이 첫 차관급 외교안보 2+2 대화를 개최한 것은 양국 관계 발전의 필요성에 따라 일찍이 합의한 일정으로 타국 간의 교류와는 특별한 관련성이 없다고 덧붙였다”고 밝혔다.

18, 19일 북한에는 러시아 지도자가, 남한에는 중국 당국자들이 방문해 안보협력을 논의하는 상황이 연출됐다. 이에 러시아가 보조를 맞추고 있는 중국을 배려해서라도 북한과의 ‘위험한 밀착’에 수위조절을 할 것이라거나 푸틴의 ‘지각 방북’이 중국을 배려한 것이라는 해석마저 나온 바 있다. 대통령실의 관계자도 “중국도 있고 하니 러시아도 ‘유사시 자동개입조항’같은 조항이 포함된 조약을 맺기에는 상당히 부담이 있을 것“이라고 한 바 있다.

증국 외교부는 또 한반도문제에 관련 논의 내용 관련, “중국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중한 양국을 포함한 관련국들의 공동 이익에 부합한다고 강조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반도 정세 변화의 맥락과 문제는 명백하며 정세를 완화하고 대립과 대항의 심화를 피하며 정치적 해결의 큰 방향을 견지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그동안 상황 자체의 옳고 그름에 따라 자국의 입장을 결정해 왔으며, 앞으로도 자국의 방식으로 한반도 문제에서 건설적 역할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세계일보

사진=AP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중국은 대만 등 중국의 핵심 이익 및 중대 관심사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엄정한 입장을 표명하고 한국 측에 적절한 처리를 요구했으며, 한국 측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존중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음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공동, 종합, 협력, 지속 가능한 안보관을 제창하고 진정한 다자주의를 실천하며, 각국의 합리적인 안보 우려를 존중하고 대화와 협상을 통해 글로벌 안보 협력을 촉진하는 동시에 패권주의, 일방주의, 강권 정치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중국과 한국은 경제 글로벌화의 수혜자로서 공동으로 글로벌 산업망과 공급망의 안정성과 원활성을 수호하고 경제 문제의 범정치화, 범안보화를 거부하며 다양한 형태의 보호 무역주의와 '울타리 쌓기'에 반대해야 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