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표창원 "'택배 반송·주소 요망' 문자, 의심 없이 클릭하면 안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개인정보위 캠페인 영상 통해 강조…택배·금융기관·지인 사칭 수법 소개

문자메시지로 받은 링크는 클릭하지 말고, 알 수 없는 앱 설치는 거부해야

뉴시스

(사진=개인정보위티비)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송혜리 기자 = "문자메시지를 통해 받은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말아야 합니다. 출처를 알 수 없다면 앱 설치를 거부해야 합니다."

범죄분석 전문가인 표창원 교수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제작한 스미싱 주의 캠페인 영상을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해당 영상은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택배·금융기관·지인 등을 사칭한 각종 스미싱 문자에 대응하는 방법을 안내하고 있으며 개인정보위 유튜브 채널 '개인정보위티비'에 게재됐다.

표창원 교수는 지난해 8월 부산에서 발생했던 택배사를 사칭한 문자 메시지에 속아 3억8300만원의 피해를 입은 사례 등을 예로 들며, 택배·금융기관·지인을 사칭한 각종 스미싱에 대응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표 교수는 스미싱을 통한 피해와 개인정보 유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받은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말아야 하며, 알 수 없는 출처의 앱은 설치를 거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정아 개인정보위 대변인은 "최근 들어 기승을 부리는 스미싱으로 인한 피해 사례를 통해 경각심을 일깨우고 국민 스스로가 개인정보 보호에 더욱 관심을 갖도록 돕기 위해 영상을 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전화나 문자메시지를 이용해 개인정보와 금융거래정보를 알려달라 하거나,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 입력을 요구하는 경우가 없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러한 전화나 문자를 받은 경우에는 일절 응대하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hewoo@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