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시위와 파업

"의료파업에 '무통' 못 맞았다"던 황보라, 의협 지적에 결국 사과 글 올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황보라. 사진=유튜브 채널 '?톡'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최근 제왕절개로 아들을 출산한 배우 황보라가 의료 파업으로 무통주사를 못맞았다고 주장한 가운데 대한의사협회(의협)가 “명백한 허위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의협은 지난 18일 입장문을 내고 “황씨가 제왕절개로 분만한 지난 5월에는 의사 파업이 있지 않았다”며 “때문에 의사 파업으로 인해 무통주사를 맞지 못했다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보도”라고 밝혔다.

또한 “무통주사와 페인버스터는 제왕절개 수술 중에 시행하는 시술로, 황보라가 수술 후에 의사가 없어서 무통주사를 맞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것도 논리적으로 말이 안 되는 주장”이라며 “잘못된 사실을 게시한 황보라 측은 해당 게시물을 정정 또는 삭제 조치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유튜브 ‘?톡’ 측은 의협의 공개 입장 표명에 황보라의 발언이 담긴 영상을 현재 삭제 조치한 상태다.

앞서 지난 16일 황보라는 유튜브 채널 ‘?톡’에 출연해 “제왕절개로 출산할 당시 의료 파업으로 인해 국소 마취제를 맞지 못해 제왕절개 통증을 그대로 감당해야 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페인버스터라는 게 있는데 아플 때마다 누르는 거라고 하더라. 근데 나에게는 페인버스터라는 걸 안 줬다”며 “알아보니 의료 파업 때문에 담당 의사가 없다는 거다. 내가 그걸(통증)을 다 견디고 있었다. 2-3일 지나니 좀 낫더라. 지금 의외로 상처가 크더라”고 토로해 논란이 됐다.

이에 황보라는 제왕절개 당시 의료파업 때문에 무통주사를 맞지 못했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해 오해가 있었다면서 사실을 바로 잡았다.

황보라는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 "제왕절개 출산 과정을 묘사하던 중 오해가 발생한 부분에 대해 직접 말씀을 드린다"고 시작하는 글을 올렸다.

그는 "지난 5월 말 제왕절개 후 무통 주사 PCA를 처방받았다. PCA는 '자가 통증 조절 장치'가 포함돼 있으며, 병원 측으로부터 자세한 사용법 안내를 받았으나 수술 후 경황이 없어 인지의 오류가 있었다"며 "매 순간 최선을 다해 애써주셨던 담당 교수님과 병원 관계자분들께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황보라가 병원으로부터 들은 말은 '인력난'이었다고 한다. 그는 제왕절개 후 처방받은 무통 주사 PCA 외에 페인버스터를 문의했으나, "올해 초부터 인력난으로 인해 페인버스터 처방을 하고 있지 않다"는 병원 측의 답변을 받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 과정에 대해 설명하던 중 '의료파업 때문'이라는 부적절한 표현을 사용했고, 신중하지 못했던 표현으로 인해 혼란을 드려 죄송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향후 유튜브 제작 과정에서 더 신중을 기하고, 저의 발언에 더 책임감을 가지고 유의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제왕절개 #의협 #의료파업 #황보라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