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엔비디아, MS 제치고 시총 1위..."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파이낸셜뉴스

미국 인공지능(AI) 반도체 업체 엔비디아가 18일(현지시간) 주가가 3.5% 급등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을 단숨에 제치고 시가총액 기준 세계 1위 기업으로 올라섰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2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컴퓨텍스2024 박람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AP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AI) 반도체 업체 엔비디아가 18일(현지시간) 마침내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이 됐다.

이날 주가가 3% 넘게 급등해 시가총액 1위로 올라섰다.

전날까지 1위였던 마이크로소프트(MS)는 0.5% 내렸고, 애플도 1% 넘게 하락한 반면 엔비디아는 3.5% 급등한 덕에 시총 1~3위 순위가 달라졌다.

마침내 시총 1위 등극


엔비디아는 시총이 3조3440억달러로 1위에 올랐다.

반면 연초 애플을 제치고 시총 1위로 올라섰던 MS는 주가가 소폭 하락하면서 시총이 3조3130억달러로 줄었다.

애플은 주가가 1.1% 하락하는 바람에 시총이 3조2830억달러로 쪼그라들었다.

엔비디아는 AMD, 인텔 등의 도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AI 반도체 시장의 80% 이상을 장악한 독보적인 기업이다.

지난해 주가가 239% 폭등한데 이어 올해에도 170% 넘게 폭등했다.

엔비디아는 지난 5년 동안 주가가 3400% 넘게 폭등했다.

MS도 큰 폭으로 주가가 오르기는 했지만 엔비디아에 비할 바는 못된다. MS는 지난해 57%, 올해 19% 상승률을 보였다.

애플은 3사 가운데 주가 상승률이 가장 낮다. 지난해 48%, 올해 11% 올랐다.

애플의 올해 상승률 11%는 지난주 1주일 동안 열린 세계개발자회의(WWDC) 효과 덕이다. 애플 주가는 WWDC를 약 한 달 앞두고 주가가 반등하기 시작했다.

압도적 실적·액면 분할


엔비디아는 2분기 들어 상승세가 주춤했다.

엔비디아 AI 반도체가 탄탄한 성장세를 지속했지만 투자자들의 높아진 눈높이를 충족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면서 주가가 보합세를 보였다.

그러나 지난달 22일 장이 끝난 뒤 엔비디아는 다시 주가 폭등세로 돌아섰다.

한껏 높아진 눈높이를 압도하는 분기 실적에 투자자들이 환호했다.

엔비디아는 아울러 시장이 고대하던 10대1 액면분할도 결정했다.

기존 1주를 10주로 쪼개는 10대1 액면분할은 기업 펀더멘털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지만 1000달러가 넘는 주식 액면가를 10분의1 수준으로 낮춰 소액 투자자들의 접근을 쉽게 해줄 것이란 기대감을 낳았다. 이렇게 쪼개진 엔비디아 주식은 10일부터 거래됐다.

압도적인 실적과 낙관 전망, 액면분할 호재가 더해지면서 엔비디아 주가는 상승 날개를 달았다.

이날 3.5% 주가 상승을 기준으로 지난달 22일 이후 상승률만 43%에 육박한다.

엔비디아는 액면분할 덕에 주식 액면가가 낮아지면서 인텔을 제치고 다우존스산업평균 지수에도 포함될 것이란 전망이 높다.

다우지수는 시가총액 기준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과 달리 주가 기준으로 움직이다.

잇단 호재


엔비디아에는 주가 추가 상승 호재도 잇따르고 있다.

기술주에 투자하는 주요 상장지수펀드(ETF)인 기술부문 특화 SPDR 펀드(XLK)가 조만간 엔비디아 투자 비중을 대폭 확대할 전망이다.

CNBC는 17일 SPDR아메리카스의 리서치 책임자인 매튜 바톨리니의 말을 인용해 엔비디아가 MS와 함께 XLK 포트폴리오 비중 공동 1위로 올라서게 된다고 보도했다.

바톨리니에 따르면 XLK는 지난 14일 현재 6%에 불과한 엔비디아 투자 비중을 21%로 늘릴 전망이다.

비중이 15%p 높아지는 것이다.

XLK 운용자산이 약 710억달러인 점을 감안하면 엔비디아 비중이 15%p 높아질 경우 추가 주식 매수 규모만 100억달러가 넘는다.

XLK는 대신 MS 비중은 22%에서 21%로 소폭 낮추고, 애플은 지금의 22% 비중에서 4.5%로 비중을 대폭 낮출 것으로 예상됐다.

비중이 급격하게 줄어든다는 것은 애플 주식을 대거 내다 판다는 뜻이다.

엔비디아는 아울러 18일 AI 서버를 제작하는 휴렛팩커드(HP) 엔터프라이즈와 협력을 선언했다.

HP엔터프라이즈와 함께 기업 고객들을 상대로 서버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도 공동으로 제공하는 AI 서버 원스톱 서비스를 추진하기로 했다.

엔비디아는 HP엔터프라이즈와 협력을 통해 AI 반도체 시장 장악력을 더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