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IMF, "AI로 부의 불평등 커진다… 각 국 실업보험 강화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AI 특별세는 '생산성 저하' 이유로 반대, 자본이득에 증세 제안

머니투데이

(새너제이 AFP=뉴스1) 박형기 기자 = 18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 SAP센터에서 열린 엔비디아 개발자 콘퍼런스 ‘GTC 2024′ 기조연설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차세대 로봇 개발 플랫폼 ‘프로젝트 그루트’를 소개하고 있다. 2024.03.18 ⓒ AFP=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새너제이 AFP=뉴스1) 박형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인공지능(AI)으로 인한 부의 불평등 심화를 우려하며 각 국 정부에 실업보험 강화 등 보호 조치를 촉구했다. 생산성 저하를 우려해 AI 특별세 도입에는 반대하면서도 자본이득에 대한 증세에는 손을 들어줬다.

IMF는 17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과거의 기술과 달리 AI는 고숙련 직업군의 일자리 손실을 야기한다며 실업 보험 강화 등 각 국이 경제에 미칠 부작용을 해소하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IMF는 생성형 AI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지만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하고 광범위한 일자리 감소 우려를 높인다고 경고했다.

2022년 말 오픈AI가 생성형 AI 챗GPT를 선보인 이후 AI에 대한 규제는 인류의 관심사로 부상했다. 유럽연합(EU)은 이미 최초의 AI 법에 동의해 EU 시민의 안전, 생계 및 권리에 허용할 수 없는 위험을 수반하는 AI 애플리케이션을 전면 금지할 수 있게 됐다.

IMF는 보고서에서 급변하는 노동시장에 맞춰 근로자가 준비할 수 있도록 기존의 교육과 직업훈련 정책도 평생 교육에 보다 집중하는 등 새로운 현실에 발 맞춰야 한다고 짚었다. 특정 부문 기반 훈련과 견습 및 재교육 프로그램이 근로자가 새로운 업무와 분야로 전환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IMF는 AI의 부정적 영향을 메우기 위한 재정 방안으로 거론되는 AI 특별세에 대해 생산성 향상을 저해한다는 이유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대신 IMF는 부의 불평등을 상쇄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자본이득에 대한 세금과 법인세 인상을 제안했다.

IMF는 AI가 더 지능적인 로봇에 힘을 실어줘 고숙련 사무직 외에도 생산직 일자리의 추가 자동화를 이끌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소수의 기업에 자본이 집중되는 '승자독식적 시장' 구조가 형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IMF는 지난 1월에도 AI가 전 세계 일자리의 약 40%에 영향을 미쳐 일부를 대체할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다블라-노리스 IMF 재정부 부국장은 "AI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각 국 정부는 매우 파괴적 시나리오에 민첩하게 대비해야 하며 국가별로 함께 협력하는 게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희정 기자 dontsigh@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