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수술 반토막, 환자들 진료 헛걸음… “검사는 내년까지 기다리래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17일 한국노총 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은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의대 교수들의 집단 휴진 강행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도준석 전문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채혈실 대기자 0명.’, ‘류마정형 창구 대기자 0명.’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외래 접수창구 앞은 대기자가 없음을 알리는 문구가 게시돼 있었다. 휴진에 참여하지 않는 의사들에게 진료받으러 온 환자와 보호자 등 40여명이 또 다른 접수창구 앞에서 기다리기는 했지만 평소와 비교하면 절반도 안 되는 인원이었다. 암병원 내 갑상선센터와 혈액암센터 등 일부 진료과 앞은 진료 중인 의사도, 기다리는 환자도 없어 텅 비어 있었다.
서울신문

17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서울 종로구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등 의료정책 강행을 비판하는 집회를 열고 구호를 외치는 모습. 홍윤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대 의과대학 산하 4개 병원이 ‘무기한 집단 휴진’에 나선 17일, 아픈 몸을 이끌고 병원을 찾은 일부 환자들은 외래 진료, 수술, 입원이 중단되면서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 18일부터 대학병원의 약 40%가 휴진에 동참하고 집단 휴진 장기화로 진료실을 떠나는 교수가 더 늘어나면 환자의 고통은 더욱 극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굳은 표정으로 짐을 싸던 김모(42)씨는 희귀난치성 질환인 ‘소뇌위축증’을 앓고 있는 남편과 함께 전날 부산에서 서울대병원까지 올라왔다. 지난 4월 병을 진단받은 이후 2개월을 기다려 겨우 진료를 보긴 했지만, 입원까지 5개월을 더 기다려야 한다는 통보를 받고 집으로 돌아가는 중이었다. 김씨는 “신경과에 대기하는 환자가 많아서 기다려야 된다고 하는데, 의사들은 휴진한다고 하니 기가 찰 노릇”이라며 눈시울을 붉혔다.

특히 무기한 휴진의 여파로 대기 환자가 밀리면서 검사를 받기 위해 심지어 내년까지 기다려야 하는 환자도 있었다. 어머니 진료를 위해 이 병원 내분비과를 찾은 임모(53)씨는 “예약이 일주일, 한 달씩 자꾸 늦춰진다. 이러다가 환자들이 죽으면 어쩌냐”며 “대학병원에 가서 췌장 검사를 하라고 해서 여기로 왔는데 당장 검사를 받을 수 있는 날이 내년 4월이라고 한다”고 말했다. 2년 넘게 순환기내과에서 외래 진료를 받고 있다는 김모(55)씨도 “3개월에 한 번씩 검진을 받아야 하는데 다음 검진이 12월 19일로 잡혔다”고 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는 응급·중증·희귀 환자에 대한 진료는 차질이 없도록 한다는 입장이지만 휴진이 길어지고 의정 갈등이 이어지며 환자들의 두려움은 점점 커지고 있다. 외래 진료 연기에 이어 수술 가동률도 반 토막 날 것으로 전망된다. 외래 병동에서 만난 한 70대 보호자는 “여동생이 대장암이라 항암치료를 받는데 일정이 늦춰질 수 있다는 안내를 받았다”며 “중증·응급환자와 가족들은 혹시나 잘못될까 불안을 달고 산다”고 토로했다.

이날 서울대 암병원 진료는 평소보다 200~300건 정도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박나래 공공운수노조 서울대병원분회 사무장은 “암병원 진료가 평소 1800명 수준인데 오늘은 200~300명 정도 줄었다”고 전했다. 유방암 치료를 받고 있는 박모(51)씨는 “중증 환자로 등록이 돼 있으니 휴진은 저와 상관없는 일인 줄로만 알았다”며 “진료 일정이 이미 한 번 변경됐고, 이후 추가로 변동이 있을까 무섭다”고 말했다.

송현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