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G7 정상회담

"올림픽 휴전·우크라 지원"…'레임덕' G7 정상들 공허한 외침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 조르지아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아랍에미리트 대통령, 압둘라 요르단 국왕, 압델마지드 테보네 알제리 대통령과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14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사벨레트리의 보르고 에그나지아 리조트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둘째날기념사진을 찍기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로이터통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G7(선진 7개국) 난쟁이와 조르지아 멜로니.'

1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이탈리아 풀리아주 브린디시의 보르고 에냐치아 리조트에서 막 내린 G7 정상회의를 일컬어 표현한 한 마디다. 선진 7개국의 정상이 한 곳에 모여 지정학적 위기와는 물론 낙태권에 이르기까지 지혜를 모았지만 어딘가 힘이 실리지 않았다. 각 정상들이 레임덕으로 정치적 운명을 가늠하기 어려워서다.

지난 13일부터 사흘간 열린 이번 G7 정상회담에서 미국·일본·영국·캐나다·독일·프랑스·이탈리아 정상들은 첫날부터 러시아의 동결자산 수익을 활용해 연말까지 우크라이나에 약 500억달러를 추가 재정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G7 정상회담을 계기로 바이든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각각 양자 안보 협정도 체결했다.

머니투데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등 G7 정상들이 13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사벨레트리의 보르고 에냐치아 리조트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 참석을 하고 있다./AFPBBNews=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G7 정상들은 파리 올림픽 기간(7월26일~8월11일) 휴전에 대한 합의도 이뤘다. G7 정상들은 공동성명에서 "모든 국가가 개별적으로나 집단으로 올림픽 휴전을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앞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함께 7월 개막하는 파리 올림픽 기간에 휴전할 것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공동 제안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재무장 할 기회로 삼을 수 있다며 냉담한 상황이고, 우크라이나도 러시아에만 유리하다며 거부했다. 결국 G7 정상들의 '허망한' 성명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제시한 가자지구 휴전을 위한 3단계 휴전 협상안도 회담 첫날 논의됐으나 G7 정상들의 지지가 무색할 정도로 하마스와 벤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각자의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11월 대선을 앞둔 바이든은 가자 전쟁으로 훼손된 미국의 외교적 리더십을 G7 정상회담을 통해 만회하고자 했으나 충분치 못한 상황이다. 오히려 G7 정상들과 이동하던 중 혼자 다른 방향으로 겉돌다 의장국인 조르지아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의 안내로 방향을 다잡는 영상이 유포돼 다시 한번 고령 논란이 야기됐다.

WSJ은 사설에서 "81세의 바이든의 경우 나이가 확연히 쇠퇴하고 있는 그는 절대로 재선에 출마해서는 안됐었다…(중략)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가 (G7에서) 유일하게 인기있는 지도자라는 점은 서구 민주주의에 있어서 나쁜 징조"라고 꼬집었다. G7 정상들이 모두 선거에서 졌거나 질 예정인 가운데 극우의 약진 덕에 홀로 세를 키운 멜로니의 두각을 경계하는 목소리다. G7 내부의 리더십 균열을 러시아와 중국, 이란 등이 악용할 가능성이 없지 않기 때문이다.

머니투데이

이번 G7 정상회의에서는 공동성명에 낙태권을 포함할지를 두고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날 선 공방을 주고받았다. 사진은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사진=로이터통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제 이번 정상회의에선 공동성명에 낙태권을 포함할지를 두고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날 선 공방을 주고받았다. 지난해 공동성명에 담겼던 "안전하고 합법적 낙태에 관한 접근성" 문구가 빠진 데는 '멜로니 총리의 입김이 크게 작용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낙태권 포함을 둘러싼 갈등에 멜로니 총리를 향해 유감을 표하기도 했다. 멜로니 총리는 이에 "G7 정상회의와 같은 소중한 자리를 이용해 선거 캠페인을 벌이는 것은 심히 잘못된 일"라고 받아쳤다. 마크롱이 총선 선거용으로 낙태권을 밀어붙인 것으로 간주한 셈이다.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 9일 유럽의회 선거에서 참패하자 조기 총선을 선언하는 정치적 승부수를 던졌다. 영국의 리시 수낙 총리도 7월 4일 보수당 역사상 가장 큰 선거 패배를 거둘 게 유력하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의 연정도 유럽 의회 선거에서 크게 졌다. 캐나다의 쥐스탱 트뤼도 총리는 경제 쇠퇴와 저조한 인기로 고군분투하고 있다. 일본의 기시다 후미오 총리도 내각 지지율이 16.4%로 선거자금 스캔들 이후 최저 수준이다. 바이든 대통령도 트럼프 전 대통령에 미세한 격차로 지지율이 뒤지고 있다.

미국진보센터의 국가안보 및 국제정책부 전무이사 앨리슨 맥마누스는 "G7은 바이든이 민주주의에 헌신하는 세계 지도자로 자신을 투영하는 핵심행사였으나 가자분쟁에 대한 그의 입장이 노력을 복잡하게 만들었다"며 "이스라엘이 인권침해와 국제법 위반을 자행하는 동안 미국이 가치 기반 외교를 홍보하기는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희정 기자 dontsigh@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