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대통령실, 푸틴 방북에 "폭넓은 협력 가능성...러에 '선 넘지 말라' 경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장호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16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 소식에 대해 "러북간 보다 폭넓은 협력이 추진될 가능성이 있고 일부 사안은 과거 방식과 동일하게 돌아갈 수 있다는 정보"라며 대응책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오는 18~19일 평양을 방문해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개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중은 외교안보전략대화를 비슷한 시기인 18일 서울에서 개최하는 방향으로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뉴스핌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23년 9월 13일 러시아 극동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4년 만에 북러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 인사를 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장 실장은 이날 연합뉴스TV에 출연해 "푸틴 대통령이 조만간 방북할 것이라는 얘기는 많이 나오고 있고 실제로 예상도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장 실장은 "작년 러북 정상회담 이후 북한측에서 러시아에 무기제공을 포함해 이런저런 교류가 있는게 계속 포착되고 있다"며 "과거 소련을 포함해 러시아, 소련 지도자가 북한을 방문했던 것은 의외로 딱 한 번"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이번에 간다는 건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에 러시아가 아쉽다는 방증으로 볼 수 밖에 없다"며 "북한의 전략적 가치가 올라갔다기 보다는 상황적 이해관계 때문에 북한이 부상했다고 봐야 한다. 방북 때 뭘 논의할지 계속 주시하고 있는데 북한은 최대한 얻어내려고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이런 저런 정보를 다각적으로 수집했고 러시아에 '일정한 선을 넘지말라'는 경고성 소통도 한 바 있다"며 "계속 지켜보면서 푸틴 방북 결과가 수사로 그칠 것인지, 실체가 있는지에 따라 대응할 것이고 러북관계는 세계 안보차원에서 다뤄지기 때문에 국제사회와도 협력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만약 이번에 러북관계의 새로운 상황이 전개되면 새로운 외생변수가 생기는 것이고 한러관계 정상화에 어느 정도 영향이 생길 수 있다"며 "러시아 측에서는 우크라 전쟁이 끝나면 과연 남북간 어느 쪽이 중요한지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장 실장은 한중 외교안보전략대화에 대해 "북중러 협력구조는 아니라고 본다. 중국과 러시아가 이해관계가 많이 다르고, 푸틴 방북이 거론되는 시점의 한중외교안보대화 개최 자체가 최근 상황이 북중러 합집합은 아니라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라며 "이번 정부 들어와서 중국과 상호존중과 호혜의 새로운 한중관계를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대통령실 청사 모습. 2022.06.10 mironj19@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장 실장은 또한 북한의 오물풍선 등 도발과 우리의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등 강대강 대치가 아니냐는 질문에 "확성기 재개 결정은 오물풍선에 대한 대응으로 국민들의 안전과 편익을 지키기 위한 결정이었다"며 "강대강이라는 얘기는 동의하기 어렵다. 북한이 한 것은 정찰위성, 미사일, GPS교란, 오물풍선 이런 것들이고 우리는 방어적 차원에서 확성기 재개와 9·19 군사합의 무효화"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걸 동일선상에 놓고 비교하는건 적절치 않다. 북한의 잘못부터 먼저 지적해야 되는 게 아니냐. 그렇게 안 하면 북한의 인식이 점점 더 안이해질 것"이라며 "북한이 감내하기 힘든 조치가 나올지 말지는 북한이 하기 나름"이라고 경고했다.

장 실장은 오물풍선의 재개 시 대응에 대해 "어떤 한 지역을 어쨌든 관리하고 통치하는 조직에서 할 짓은 아니지 않나"라며 "그런 행위를 반복하면 북한이 감내하기 힘든 조치를 볼 수 밖에 없다. 북한이 자기 주민들조차 알게 되면 부끄러워할 일을 다시 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했다.

장 실장은 지난 9일 북한군 수십명이 군사분계선 넘어왔다가 경고사격에 돌아간 사안에 대해 "정전협정을 준수하면서 북한군의 일거수일투족을 면밀히 본다. 그날도 즉각 보고 받았고 북한군 병력 무장 정도가 어떤지 등을 따져봤다"고 말했다.

이어 "군사분계선 일대는 200m 간격으로 표지판이 있는데 풀이 우거져서 잘 안 보인다. 잠깐 월경할 수도 있다"며 "경고사격하니까 바로 돌아갔고, 단순 월경사건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도발 가능성을 언제든 대비하고 있다. 요즘 북한이 DMZ 안에서 불모지 작업을 하거나 전술도로를 복원하거나 지뢰 매설를 계속하고 있어서 계속 관심을 가지고 보고 있다"며 "얼마 전에 김정은이 남한 관계를 다 끊으라고 얘기 한 것도 있어서 대남 절연과도 연계가 있느냐도 보고 있고, 북한 주민들의 이탈을 막기 위한 목적도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kimsh@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