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서울대 하영선 교수입니다"…AI, 한달만에 77세 노교수 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하영선 교수입니다. 여러분께 국제정치 관련 깊이 있는 지식을 제공하길 기대합니다.”

지난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아시아연구원. 대형 스크린에 띄워진 인공지능(AI) 챗봇은 자신을 하영선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명예교수(77·외교학 전공)라고 소개했다. 하 교수의 희수연(喜壽宴)을 맞아 그의 제자들은 생성형 AI 모델 ‘GPT-4o’(포오) 기반으로 제작한 AI를 선물로 준비했다. 동아시아 국제정세 분야 석학인 하 교수가 펴낸 단행본 13권, 140여 편의 논문, 기고문 등을 전부 학습한 ‘하영선 AI’다.



AI, 한 달 만에 '학자 평생연구' 완전히 학습



참석자들은 하영선 AI에 학술적 내용뿐 아니라 외교적 현안 등 다양한 질문을 던졌다. ‘북핵에 대한 입장이 뭔가’라는 질문에 AI는 “생존권, 발전권, 통합억제 시스템 등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한 뒤 답변하겠다”며 하나씩 설명한 뒤 “북한의 핵 보유 비용을 극대화해서 자발적으로 포기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 교수의 평소 지론과 일치하는 답변이었다.

중앙일보

하영선 교수 제자들이 그의 저작물을 학습시킨 AI 챗봇을 제작해 시연하고 있다. 사진 동아시아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추론을 요구하는 질문에도 막힘이 없었다. ‘하 교수 학문에서 중요한 개념이 뭔가’라고 묻자, “국제 정치의 다차원성을 설명하는 ‘복합세계정치’와 ‘늑대거미 모델’이 핵심”이라고 답했다. 하 교수의 저작물을 2000년 이전과 이후로 나누고 AI에 각각 따로 학습시켜 젊은 하 교수와 노년의 하 교수가 AI로 대리 토론하는 것도 가능했다. 나이가 들며 조금씩 바뀌었던 가치관의 차이를 AI가 잡아냈다는 의미다.

글이 아니라 하 교수가 말하는 목소리가 담긴 동영상을 학습한 AI도 있었다. 음색이나 “음…” 하면서 뒤를 내리는 말 습관까지 현실의 하 교수와 유사했다. 함께 듣던 제자들은 “교수님 특유의 ‘쪼’(말투)가 실제와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똑같다. 지금보다 젊을 때 목소리와 더 비슷해 놀랍다”고 했다.



하영선 "AI 안 써도 망하고, AI만 믿어도 망할 것"



중앙일보

하영선 교수는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을 맡고 있다. 그는 "AI를 잘 활용하면 동아시아연구원이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등 세계 선두권의 싱크탱크와 충분히 경쟁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자신의 AI를 본 하 교수는 처음엔 미소를 띠며 지켜보다가 차츰 진지한 표정이 됐다. 그는 “북한 문제는 90% (내 견해와) 비슷한 것 같고, 미중관계는 60~70% 정도다. 어떻게 묻는지에 따라 답변 수준이 다르니 질문하는 실력이 중요해 보인다”라고 말했다. AI를 학습시킨 과정은 하 교수의 서울대 외교학과 제자인 공훈의 고도화사회이니셔티브 대표가 맡았다. 공 대표는 “같은 내용이라도 입력 순서, 자료의 구조화 여부에 따라 AI 성능 격차가 정말 크다. 한 달 동안 AI 6개를 제작해 가장 나은 5번째 모델을 들고 온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정인의 저작물에만 기반해 답을 내놔야 해서 다른 자료는 섞이지 않도록 하는 게 쉽지 않았다”고도 했다.

하 교수의 지식을 통째로 흡수한 AI를 만들어보자는 아이디어는 배영자 건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냈다. 하 교수가 “(원로교수들이 받는) 초상화 같은 아날로그 선물은 준비하지 말라”고 했고 그렇다면 미래 지향적인 뭔가를 해보자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배 교수는 “AI가 지식인과 대중 사이에 접점이 될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모인 하 교수의 제자들은 대부분 교수였다. 이들은 AI가 지식공유 형태를 획기적으로 바꿔놓을 가능성에 관심을 가졌다. 김상배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는 “예를 들어, 북한 오물풍선이 날아왔을 때 외교 전문가의 의견이 궁금하면 바로 AI에 물어보고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신뢰도 제고 등 해결해야 할 문제도 있지만 단점보다 장점이 많다고 본다”고 말했다. 하영선 교수는 “앞으로 세상은 저걸(AI) 안 써도 망하고, 저것만 믿어도 망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철웅 기자 kim.chulwoong@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