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중국이 ‘가짜 티타늄’ 팔았나…보잉 비행기서 ‘인증서 위조’ 부품 발견, 中업체 관여 가능성 제기(NYT)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지난 1월 5일 보잉 737 맥스 기종의 항공기에서 비행 중 문이 떨어져 나가는 아찔한 사고가 발생했다. 이후 보잉 기종에서는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잇따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잇따른 안전사고로 신뢰를 잃은 보잉과 세계 양대 항공기 제조사 중 한 곳인 에어버스가 제조 과정에서 인증서가 위조된 티타늄을 부품 자재로 사용했다는 사실이 확인돼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뉴욕타임스의 14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미국 연방항공청(FAA)과 항공기 부품 공급업체인 스피릿 에어로시스템즈(이하 스피릿)는 항공기 제조에 부품으로 사용된 티타늄에서 부식으로 인한 작은 구멍을 확인하고는 조사를 시작했다.

문제의 티타늄에서 발견된 부식과 작은 구멍 등의 현상은 보잉이 자발적으로 공개한 것으로 확인됐다. 보잉에는 동체를, 에어버스에는 날개를 공급하는 스피릿은 이후 인증서가 위조된 티타늄이 에어버스에도 제공된 사실을 확인했다.

문제의 티타늄이 들어간 부품은 2019~2023년에 제작된 항공기에 사용됐다. 이 시기에 제작된 기종은 보잉 737 맥스, 787 드림라이너, 에어버스 A220 등이다.
서울신문

보잉 팩토리 항공기 생산라인 전경.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피릿 관계자는 “787 드림라이너의 경우 승객 출입문, 화물칸 문, 엔진과 동체 연결 부위 등에, 737 맥스와 A220은 엔진과 동체 연결 부위의 열 차폐막 등에 문제의 티타늄이 들어간 부품이 사용됐다”고 밝혔다.

다만 FAA와 스피릿은 문제의 티타늄이 사용된 항공기가 총 몇 대인지, 어느 항공사가 해당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는지 등의 정보는 밝히지 않았다.

FAA는 성명에서 “문제의 범위를 조사 중이며, 해당 부품이 사용된 항공기의 장‧단기 안전 영향을 파착할 것”이라고 밝혔다.

“티타늄 인증서 위조, 중국 업체 관여 가능성 있어”

스피릿 등에 전달된 티타늄 인증서는 품질과 제조방법, 출처 등을 자세히 기술해 티타늄 적합성을 판단하는 근거로 쓸 수 있는 일종의 원산지 증명서의 역할을 한다.

이번에 문제가 된 티타늄의 경우 품질 등 주요 정보가 위조된 것으로 확인됐으며, 뉴욕타임스는 인증서 위조가 어떻게 이뤄졌는지 불분명하다면서도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업체가 관여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해당 소식통들은 뉴욕타임스에 “중국 업체의 한 직원이 (티타늄) 인증서의 세부 내용을 위조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해당 직원은 종종 검증된 티타늄을 공급하는 또 다른 중국 회사인 ‘바오지 티타늄 산업’에서 티타늄을 공급받은 것처럼 인증서를 위조했다”고 말했다.

언급된 바오지 티타늄 산업 측은 뉴욕타임스에 “(인증서를 위조했다는) 업체를 알지 못하며, 해당 업체와 거래를 한 적도 없다”고 주장했다.

보잉과 에어버스는 문제의 티타늄을 테스트한 결과 무제가 될 징후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스피릿 역시 현재까지 진행한 테스트에서 해당 티타튬이 항공기 부품으로 사용되는 데 적합한 등급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다만 스피릿은 문제의 티타늄이 승인된 항공기제조 공정을 거쳐 처리됐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뉴욕타임스도 “해당 티타늄은 스피릿의 일부 재료 테스트를 통과했지만, 통과하지 못한 테스트도 있다”고 전했다.

송현서 기자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