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출구 못찾는 가자전쟁으로 '국제규범 수호자' 美역할에 '그림자'"
우크라이나와 양자 안보협정 서명 후 기자회견에 나선 바이든 미국 대통령 |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의에서 우크라이나 지원을 강조하려 했으나 기자회견에서 가자지구 전쟁 관련 질문이 나오자 곤혹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3일 이탈리아 풀리아주 바리에서 열린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10년짜리 양자 안보 협정을 체결했다.
서명식 직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에 관한 몇 가지 질문이 있었고, 뒤이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휴전협상의 최근 상황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이에 바이든 대통령은 기자들에게 "여러분이 규칙을 좀 지켜줬으면 좋겠다"고 정색하며 말하고는 미국이 제안한 휴전안이 이스라엘 정부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G7의 지지를 받았으며 타결 여부는 하마스에 달려 있다는 기존 입장을 거듭 밝혔다.
이에 대해 NYT는 바이든 대통령이 예상과 달리 가자전쟁 관련 질문을 받게 되자 발끈하면서 허둥대는 듯했다고 전했다.
NYT는 바이든 대통령이 국제사회에서 민주주의의 수호자이자 국제규범의 본보기라는 미국의 전통적 역할을 되찾으려 하지만 가자 전쟁에 대한 미국의 지지가 그런 노력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으며, 이번 기자회견에서의 모습이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짚었다.
미-우크라 안보협정 서명 후 악수하는 바이든-젤렌스키 |
바이든 행정부는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외교적 걸림돌을 없애기 위해 6주간의 정전과 순차적 인질 교환 및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 철수 등으로 이어지는 '3단계 휴전안'을 제시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 내에서는 대학가를 중심으로 가자전쟁 반대 시위가 전국으로 번졌고, 바이든 대통령이 소속된 민주당을 비롯한 지지층에서는 팔레스타인 주민 인권 보호에 실패했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가자지구 전쟁 상황을 심층 조사한 유엔 독립 조사위원회가 이스라엘과 하마스 모두에 '전쟁범죄' 책임이 있다는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가 발표된 지난 12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관련 질문에 미국 정부가 보고서를 아직 읽지 않았다고 답했다.
하지만 설리번 보좌관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어린이들을 가족들로부터 떨어뜨리고 국외로 빼돌려 입양시켰다는 보도 내용과 관련해 이번 주 비난 성명을 발표하면서 "비열하고 끔찍하다"고 언급하는 등 대조적 태도를 보였다고 NYT는 꼬집었다.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하는 바이든 미국 대통령 |
inishmor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