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서울의대 교수 비대위 "무기한 휴진 참여 교수 400명 넘어"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삼성서울병원 등 성균관의대 교수들도 무기한 휴진 논의

뉴스1

13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환자와 보호자등 방문객들이 오가고 있다. 앞서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가 17일부터 무기한 집단 휴진을 결의한 것을 시작으로 대한의사협회는 18일 집단 휴진과 총궐기대회 개최를 예고했다. 2024.6.13/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오는 17일부터 응급실·중환자실 등 필수 부서를 제외하고 무기한 휴진에 나서겠다는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들이 4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15일 오전 "17일 전체 휴진을 앞두고 서울의대 산하 4개 병원 휴진 참여 현황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의대 산하 4개 병원은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 강남센터다.

비대위에 따르면 각 병원 임상과별 조사 중간 결과, 15일 오전까지 외래 휴진 또는 축소, 정규 수술·시술·검사 일정 연기 조치를 시행한 교수는 400명이 넘었다.

추가 조사를 진행 중인데 휴진에 참여하는 교수가 늘 것으로 비대위는 보고 있다.

4개 병원 교수진은 총 1400명 정도며 이 중 대면진료를 진행하는 교수는 1000명 정도다.

휴진으로 진료 예약 변경이 된 경우 개별 교수 자체적으로 또는 비대위에서 환자들에게 안내하고 있다.

현재까지 휴진 참여 교수들의 절반 정도가 비대위에 진료 예약 변경 지원을 요청했다. 비대위는 "요청된 건에 대해 15일까지 예약 변경과 환자 알림 절차가 완료될 예정"이라고 했다.

비대위는 응급·중환자와 희귀·난치·중증 질환에 대한 진료는 유지할 방침이라 해당 분야에 근무하는 교수는 휴진에 참여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비대위는 진료를 유지하는 교수들로부터 휴진 지지 성명서를 받고 있다.

비대위는 "의료계에 대한 존중과 올바른 의료정책 수립을 요구하는 해당 성명에는 17시간 만에 300명의 교수가 동참했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또 "전공의를 향한 행정처분 취소와 의료 사태 정상화를 위한 합리적 조치를 요구해왔으며, 이 목표를 위한 정부의 실질적인 조치가 있다면 휴진을 철회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빅5 병원인 삼성서울병원 등이 소속된 성균관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도 정부에 조속한 사태 해결을 촉구하기 위해 무기한 휴진에 대한 논의에 들어가겠다고 이날 밝혔다.

성균관의대 교수 비대위는 "정부는 여전히 현 의료사태 해결을 위한 전향적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정부의 조속한 사태 해결을 촉구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비대위는 "삼성서울병원, 강북삼성병원, 삼성창원병원이 무기한 휴진 논의를 시작한다. 비대위 논의 후 전체 교수들에게 관련 설문 조사를 진행하고, 전체 교수 총회를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ksj@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