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자율주행 중 경찰차 충돌한 테슬라…잇단 사고에 주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비상등 켠 차량에 돌진하는 사고 계속

테슬라 주가 2.44% 하락세 마감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의 차량이 주행보조 기능을 작동시킨 상태에서 비상등을 켠 경찰차에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비슷한 사고가 반복되며 대대적인 리콜을 실시한 뒤에도 충돌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1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풀러튼 경찰국에 따르면 전날 자정을 조금 넘긴 오전 0시 4분에 로스앤젤레스(LA)와 가까운 한 도로 교차로에서 교통사고 처리를 위해 도로 일부를 막고 정차 중이던 경찰차에 파란색 테슬라 차량이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아시아경제

테슬라 로고.[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당시 경찰차는 비상등을 켜고 있었고, 주변에 불빛을 내는 비상 신호기 여러 대를 놓아둔 상태였다.

경찰은 도로에 서 있었던 경찰관이 마주 오는 테슬라를 발견하고 도로 옆쪽으로 피해 잠재적인 참사를 피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경찰차 안에 타고 있던 경찰관도 충돌 방향에서 벗어나 부상은 면했다.

경찰은 "테슬라 운전자가 사고 당시 자율주행 모드를 작동시킨 채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었음을 인정했다"며 "책임 있는 운전자 행동과 캘리포니아 법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자율주행 모드는 편리할 수 있지만, 항상 경각심을 갖고 언제든 운전에 관여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테슬라 차량 운전자가 작동시킨 기능이 기본 장착된 '오토파일럿'인지 구매가 필요한 상위 소프트웨어 'FSD'(Full Self-Driving)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AP통신은 미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사고를 인지하고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테슬라 측에 연락했다고 전했다.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관련 사고는 2015년 이 소프트웨어 탑재 이후 수백 건 발생했고, 2021년 베타 버전의 FSD가 출시된 뒤에는 FSD 관련 사고도 수십 건 보고됐다.

NHTSA는 2021년 오토파일럿 사고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NHTSA의 자료에 따르면 오토파일럿 관련 충돌 사고는 총 467건으로, 사고로 인해 14명이 사망하고 54명이 부상했다. FSD와 관련해서는 75건의 충돌 사고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오토파일럿 사망 사고 중 대부분은 테슬라 차량이 점멸등을 켠 오토바이나 응급 차량을 들이받는 사례였다.

테슬라는 작년 12월 NHTSA와의 합의에 따라 미국에서 판매된 거의 모든 테슬라 차량을 대상으로 오토파일럿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리콜을 진행했다. 당시 운전자들이 오토파일럿 작동 중에도 계속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경고 기능을 추가하고, 운전자가 주의 확인 요청에 응답하지 않을 경우 시스템 작동을 해제하는 기능 등이 포함됐다.

하지만 리콜 후에도 20건의 오토파일럿 관련 충돌 사고가 발생했고, 지난 4월 말 NHTSA는 테슬라 리콜 조치 적절성에 대한 재조사에 착수했다.

한편 테슬라 주가는 사고 소식이 전해지며 전장보다 2.44% 내린 178.01달러로 하락 마감했다. 앞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게 대규모 성과 보상을 지급하는 안건 통과로 CEO 거취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돼 주가가 상승했지만, 사고 위험 불안감이 커지면서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소진 기자 adsurd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