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KTX 도입 20년만에 우즈벡에 '첫 수출' 성공…'2700억' 규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대로템 제작기술·코레일 유지보수 노하우 패키지

정상외교도 힘 보태…전체 부품 87%가 국산

뉴스1

우즈베키스탄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타슈켄트 국제공항에 도착해 마중나온 아리포프 우즈베키스탄 총리와 인사하고 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 2024.6.14/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KTX 도입 20년 만에 첫 해외 수출이 성사됐다.

국토교통부는 14일 현대로템과 우즈베키스탄 철도공사 간 2700억 원 규모의 한국형 고속철도 차량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수출되는 고속철도 차량은 UTY EMU-250 42량(7량x6편성)으로 한국서 운행 중인 KTX-이음을 우즈베키스탄 현지 실정에 맞춰 개선한 모델이다.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로 상업운행 속도는 시속 250㎞다.

이번 공급계약은 현대로템의 제작 기술과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의 유지보수 노하우를 패키지로 결합하면서 민관협력체계를 구축해 이뤄졌다. 이는 한국의 첫 고속철도 수출 사례다.

향후 중앙아시아는 물론 10조 원 이상 규모로 추정되는 폴란드, 태국, 모로코 등 세계 고속철 차량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첫 수출 성과는 현장에서 한국 기업의 애로사항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뉴스1

현대로템이 제작하는 우즈베키스탄 고속철도 조감도.(국토교통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022년 11월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제1차 수출전략회의에 참석한 현대로템은 고속철 차량 수출을 위한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금융 지원을 건의했고, 윤 대통령은 수출입은행 등 관계기관에 금융문제로 수주가 무산되는 일이 없도록 전폭 지원을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또 작년 9월 유엔총회를 계기로 이뤄진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Shavkat Mirziyoyev)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도 고속철도, 고속도로 사업 등 교통 인프라 협력을 주요 의제로 논의하는 등 정상외교에도 힘써왔다.

이번 수출 고속철도는 핵심부품인 전기 추동장치를 비롯해 제동장치, 주변압기, 승객출입문 등 전체 부품의 87%가 국내 생산품으로, 128개의 국내 중소 부품 공급사가 해외시장에 동반 진출하는 의미가 있다.

또 이번 계약을 계기로 고속철도 유지보수 기술 교류, 인력양성, 차량기지 건설 등 양국 간 철도분야 전반 협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국토부는 양국 정상 임석 하에 우즈베키스탄 교통부와 교통협력에 관한 기관 간 약정(Arrangement)을 체결했다. 양국은 철도, 도로, 인프라, 교통안전, 기후변화 대책 등 교통 분야 전반에서 프로젝트 정보 공유, 전문가 교류 등을 추진해 폭넓은 협력에 착수할 예정이다.

약정을 기반으로 다슈켄트-안디잔 고속도로(약 54억 달러·7조 4655억 원) 등 대규모 교통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해 한국 기업의 참여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KTX 도입 20주년인 올해에 우리 기술로 만든 고속철 차량 첫 수출은 그간 축적된 우리 민간기업의 기술과 노하우와 함께 정부와 공공기관이 한 팀이 돼 달성한 쾌거"라며 "이번 공급계약을 발판 삼아 앞으로 국토부를 중심으로 코레일, 국가철도공단, 민간기업과 총력 협력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고속철도 건설과 차량, 운영으로 이어지는 K-철도가 전 세계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번 수출에 대해서 한 업계 관계자는 "고속철도 도입 20년 만에 첫 수출을 성공한 만큼 고속철도 수요가 있는 세계 주요국들을 대상으로 수출 기회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본다"며 "한국 고속철도의 위상을 높히고 여러 철도 관련 협력 기업의 사업 기회가 늘어났다"고 밝혔다.

뉴스1

우즈베키스탄 고속철도 노선도.(국토교통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d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