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콜록콜록' 백일해 주의보 … 환자 105배 급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질병관리청이 지난 1일 기준 올해 백일해 환자 수가 1365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 13명 대비 105배나 증가했다고 7일 밝혔다. 최근 10년간 환자 수가 가장 많았던 2018년의 연간 환자 수 980명을 뛰어넘는 수치다.

백일해는 백일해균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법정감염병 등급은 2급이다. 전염성이 강하며 장기간 발작성 기침을 하는 게 특징적인 증상이다. 소아의 경우 구토나 탈진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질병청은 "백일해 유행에는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백일해 유행이 없었던 점, 다수 국가에서 예방접종률이 감소한 것, 해외 교류 증가, 검사법 발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환자 연령대를 보면 13∼19세가 617명으로 전체의 49.6%를 차지했다. 7∼12세는 512명(37.5%)으로 7∼19세 소아와 청소년이 전체 환자의 87.1%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청은 "우리나라는 백일해 예방접종률이 높아 고위험군인 1세 미만의 감염 사례가 적고 최근 10년간 백일해로 인한 사망도 보고되지 않았다"며 "다만 환자 수가 계속 증가한다면 중증 합병증이나 인명피해 사례가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은 1세 미만 영아가 예방접종 시기인 생후 2·4·6개월에 제때 접종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후에도 15∼18개월, 4∼6세, 11∼12세에 추가 접종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접종자나 불완전 접종자, 아이를 돌보는 조부모 등 성인들도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상생활에서는 손 씻기 수칙, 기침 예절을 지켜야 하고 백일해가 의심되면 학생은 등교·등원을 중지하고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강민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