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美보잉 스타라이너 첫 유인 시험비행 발사 성공…캡슐, 궤도비행(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주비행사 2명 탑승, 하루 뒤 ISS 도킹 시도…무인비행 2년만에 성공

이미 지구저궤도 유인 운송 임무중인 '스페이스X'와 본격 경쟁 나설듯

연합뉴스

5일(현지시간) 발사된 보잉 우주선 '스타라이너'
[로이터=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미국 보잉사의 우주캡슐 'CST-100 스타라이너'(Starliner, 이하 스타라이너)가 5일(현지시간) 첫 유인 시험비행 발사에 성공했다.

스타라이너는 이날 오전 10시 52분(미 동부시간) 2명의 우주비행사를 태우고 플로리다주에 있는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아틀라스 V 로켓에 실려 우주로 발사됐다.

이어 약 15분 만에 우주비행사들이 탄 캡슐이 아틀라스 V 로켓 하단과 성공적으로 분리돼 궤도 비행을 시작했다.

비행이 계속 순조롭게 진행되면 스타라이너는 약 25시간 후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킹하고, 우주비행사들은 약 8일간 ISS에서 머문 뒤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다.

스타라이너에는 미 항공우주국(NASA) 소속 베테랑 우주비행사 부치 윌모어(61)와 수니 윌리엄스(58)가 탑승했다.

윌모어는 미 해군 전투기 조종사, 윌리엄스는 미 해군 헬리콥터 조종사 출신으로, 각각 두 차례 ISS에 다녀온 경력이 있다.

스타라이너는 제어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율 비행이 이뤄지지만, 두 비행사는 중간중간에 수동으로 조종하며 시스템을 점검할 예정이다.

이번 시험비행 발사는 지난 한 달간 두 차례 발사 직전 취소 사태를 겪은 뒤 세 번째 시도 끝에 성공한 것이다.

보잉과 NASA는 지난달 6일 첫 유인 시험비행을 시도했다가 카운트다운 2시간을 앞두고 로켓 상단의 산소 방출 밸브 오작동 문제로 발사를 연기했으며, 이후 발사 일정을 잡았다가 스타라이너의 추진기 발사에 사용되는 헬륨 누출 문제 등이 불거져 일정을 몇 차례 미뤘다.

또 이달 1일에도 발사를 시도했다가 카운트다운 3분 50초를 앞두고 컴퓨터 시스템 문제가 발생해 또다시 중단됐다.

이번 유인 시험비행은 2022년 5월 스타라이너가 우주비행사를 태우지 않고 무인 비행에 성공한 이후 약 2년 만이다.

스타라이너는 2019년 12월 첫 무인 시험비행 때에도 소프트웨어 이상으로 ISS와 도킹하지 못하고 귀환하는 등 기술적인 문제가 거듭된 끝에 무인 비행에 어렵게 성공한 바 있다.

이번 유인 시험비행이 최종적으로 성공하면 NASA는 내년부터 ISS 수송 임무에 스페이스X의 '크루 드래건'과 함께 스타라이너를 활용할 계획이다.

스타라이너는 크루 드래건과 함께 ISS를 오가는 쌍두체제 유인 캡슐로 개발됐다.

2014년 NASA는 심우주 탐사에 전념하기 위해 지구 저궤도 유인 운송을 민간 기업에 맡긴다는 방침을 세우고 보잉, 스페이스X와 각각 42억달러(약 5조7천78억원)와 26억달러(약 3조5천334억원)의 유인 캡슐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스페이스X가 개발한 크루 드래건은 2020년 유인 시험비행을 마치고 NASA를 위한 수송 임무를 9차례나 수행했다.

그에 비하면 스타라이너의 상용화는 4년이나 늦어진 상태다.

mina@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