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금융감독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유럽 상업용 부동산 가격 지수 하락이 둔화하면서 국내 금융사가 투자한 해외 부동산의 EOD(기한이익상실) 발생 규모도 작아졌다.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전체 금융권 총자산 대비 0.8%에 불과해 금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된다.
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금융권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이 57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9월 말과 비교해 1조2000억원 증가했다.
업권별로는 △보험 31조3000억원(54.4%) △은행 11조6000억원(20.2%) △증권 8조8000억원(15.2%) △상호금융 3조7000억원(6.4%) △여신전문금융사 2조1000억원(3.6%) △저축은행 1000억원(0.0%) 순으로 투자액이 많았다.
올해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투자액은 10조6000억원이다. 2030년까지 44조8000억원의 만기가 도래한다. 투자 만기 연장으로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금액은 12조7000억원에서 약 2조2000억원 감소했다.
57조6000억원 투자 잔액 중에서 손실 파악이 가능한 단일 사업장 규모는 35조1000억원이다. 지금까지 누적 2조4100억원(6.85%)에서 EOD 사유가 발생했다. EOD 규모는 지난해 4분기 중 1000억원 증가했다. 다만 지난해 3분기 EOD 발생 규모인 9800억원과 비교하면 증가 폭은 많이 감소했다.
금융권 총자산(약 6859조원) 대비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비중은 0.8%다. 금감원은 "해외 부동산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국내 금융사가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해외 부동산 투자 손실이 국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올해 들어 미국·유럽 상업용 부동산 가격 지수 하락이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추가적인 가격 하락 위험을 배제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금융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 투자 손실 인식과 충분한 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할 계획이다. EOD 등 특이 동향 신속 보고 체계를 운영하고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자산에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창섭 기자 thrivingfire21@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