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단독]화장지 업체 모나리자, 인도네시아 제지회사에 매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디’ 화장지 쌍용C&B까지 4000억 원에 팔기로

동아일보

모나리자·쌈용C&E 주요 상품. 각사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화장지 업체인 모나리자가 인도네시아의 제지회사인 아시아펄프앤페이퍼(APP)에 매각됐다. 해외 사모펀드(PEF) 모건스탠리 프라이빗에쿼티(MS PE)는 모나리자 등을 사들인 지 10년 만에 자금을 회수하게 됐다.

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MS PE는 이날 모나리자와 쌍용C&B의 대주주인 엠에스에스홀딩스 지분 100%를 APP에 4000억 원에 판다는 내용의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엠에스에스홀딩스는 코스피 상장사인 모나리자 지분을 50.99% 보유하고 있으며, 비상장사인 쌍용C&B 주식도 100% 갖고 있다. 이 외에 엠에스에스펄프, 엠에스에스로지스틱스, 엠에스에스글로벌, 엠에스에스에이치알엠 등의 자회사 지분도 100% 보유하고 있다.

모나리자와 쌍용C&B는 국내 유명 화장지 제조업체다. 모나리자는 1977년 설립된 국내 토종 기업으로 1988년 코스피에 상장했다. 화장지, 물티슈, 키친타월, 마스크 등 위생 제품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코디’라는 화장지 브랜드로 유명한 쌍용C&B는 1978년 설립됐다. 한때 국내 화장지 점유율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

MS PE는 2014년 이들 회사를 2500억 원가량에 인수했다. 인수 당시 화장지 중심이었지만 이후 물티슈, 생리대, 기저귀 등 생산하면서 상품군을 다각화했다. 인수 당시였던 2014년 2816억 원이었던 엠에스에스홀딩스의 연결기준 매출은 지난해 3414억 원으로 600억 원가량 늘었다.

MS PE는 2017년 인수 후 처음으로 매각에 나섰지만, 인수자를 찾지 못했다. 이후 2022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당시 모나리자가 ‘마스크 수혜주’로 엮이면서 주가가 급등했고 한 차례 더 매각을 추진했지만, 가격 협상에 실패하면서 무산됐다. 이번 3번째 매각 도전에서 해외 회사인 APP를 새 주인으로 맞이하게 됐다.

동아일보

인도네시아 칼리만탄섬의 펄프용 조림목. 이훈구 기자 ufo@donga.com


모나라자의 새 주인인 APP는 글로벌 10위권의 제지회사다. 화장지 원재료인 펄프 생산량에서는 글로벌 4위에 올라 있다. 국내에서도 다수의 화장지 제조업체들이 APP로부터 펄프를 수입해 화장지를 만들고 있다. 지난해에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펄프의 20% 가까이를 APP로부터 수입했다.

APP는 모나리자와 쌍용C&B 인수를 통해서 국내에서의 영향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모나리자 등에 펄프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인수 시너지는 상당할 것으로 분석된다. APP 측 인수 자문을 담당하고 있는 KB증권도 이 같은 점을 적극적으로 알리면서 APP에 모나리자 등의 인수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각 자문은 씨티글로벌마켓증권이 담당했다.

이동훈 기자 dhlee@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