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현재 수준 초미세먼지 지속땐 2050년 11만명 조기 사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지난달 12일 오전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이 뿌옇다. [사진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초미세먼지 농도가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면 오는 2050년에는 조기 사망자가 현재보다 3배 이상 많아질 것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4일 이형주 포항공대(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김나래 석사과정 연구팀은 초미세먼지와 고령화 속도를 고려한 사망자 수를 예측한 결과 2050년 조기 사망자가 약 11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미세먼지보다 크기가 작은 지름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초미세먼지는 몸속 깊숙하게 침투해 여러 질병을 유발한다. 특히 고령층이 초미세먼지에 더 취약하다고 알려져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한국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팀이 조사한 결과 지난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약 20µg/m³로 환경부 연간 대기환경기준인 15µg/m³보다 높고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수준인 5µg/m³를 한참 웃돈다.

연구팀은 인구주택총조사와 장래인구추계 데이터를 통해 2020년에 16%인 고령층 인구가 2050년에는 40%로 증가할 것이란 결과를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사망자 수를 예측하는 시나리오를 설계했다.

초미세먼지 농도가 최근 3년 평균 수준인 20µg/m³를 유지할 경우 2050년 초미세먼지에 따른 조기 사망자가 약 11만명에 이를 것이란 예측치가 나왔다. 이는 2020년 조기 사망자 수인 3만4000명의 약 3배에 이르는 수치다.

환경부 연간 대기환경기준인 15µg/m³로 초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더라도 2050년 사망자는 약 8만4000명에 이른다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2050년 사망자 수를 2020년 수준과 같게 하려면 초미세먼지 농도를 6µg/m³까지 줄여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교수는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건강 취약계층이 증가하면서 초미세먼지가 공중 보건에 큰 위협이 되고 있어 지금보다 훨씬 강화된 미세먼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