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이슈 유가와 세계경제

"동해 석유가스전 수혜 판단 아직 일러…진행상황 봐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나증권 보고서

성공시엔 개별 기업 수혜 일부 존재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정부 발표에 향후 기대감을 높일 순 있지만 이른 시점이라는 판단이 나왔다. 다만 개별 기업 수혜는 성공을 조건부로 보면 일부 존재할 순 있다고 봤다.

4일 유재선 하나증권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일부 공급 인프라 투자 관련해 가스·석유 공기업 수혜가 존재할 수 있다”며 “국내 천연가스 도매사업자의 경우 최종 투자 단계에 합류하기 때문에 도입과 관련한 투자 만이 실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날 윤석열 대통령은 국정브리핑에서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탐사 시추 계획을 승인했다고 언급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40억 배럴을 현재 가치로 따져보면 삼성전자 시가총액의 5배 수준”이라고 말했다. 현재 삼성전자 시총은 약 452조 5000억원으로 동해 석유와 가스 매장의 가치가 2262조 5000억원에 달한다고 언급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 연구원은 이에 대해 “동해-1 가스전은 2004년부터 생산을 시작했고, 2021년에 공급을 중단했다”며 “현재 물리 탐사 결과로 확인된 탐사자원량은 최소 35억 배럴에서 최대 140억 배럴이다. 아직 탐사 초기 단계로 확신을 갖기에는 다소 이른 시점이기 때문에 추가 진행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탐사 시추 계획은 올해 연말부터 진행된다. 유 연구원은 “통상 성공 확률을 10% 내외 수준으로 간주되나 기술 개발 등을 감안해 정부는 20%로 제시했다”며 “시추비용은 1공당 1000억원 이상이며 현재 5차례까지 시추가 필요한 것으로 언급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천해가 아닌 심해이기 때문에 비용 집행이 상당한 수준으로 이뤄질 수 있다”며 “생산까지 이어진다고 가정하는 경우 단가는 투자비와 직결되기 때문에 시추 횟수, 비용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생산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은 2035년 이후인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과거 동해 가스전의 경우 1998년 탐사에 성공해 2004년 상업생산을 시작했다.

개별 기업의 수혜는 일부 존재할 수 있다고 봤다. 유 연구원은 “거리와 개발 상황에 따라 파이프 혹은 해상으로 운송 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며 “일단 투자비가 증가하면 요금기저도 상승하기 때문에 영업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 가능하다”고 진단했다. 다만 개발이 된다는 전제하에서도 도입가격, 투자비, 회수율 등 여러 변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추정이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는 유가와 환율 등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