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윤영빈 우주항공청장, 역사적인 첫 출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윤영빈 초대 우주항공청장이 27일 경남 사천 임시청사로 첫 출근해 직원들과 인사하고 조회를 주관했다. 윤 청장은 직원 채용 등 시급한 결제를 처리하는 등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아시아경제

윤형빈 우주항공청장이 27일 첫 출근해 소감을 말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 곳곳에 산재했던 우주 관련 조직을 통합해 탄생한 우주항공청은 이날 경남 사천에서 개청하고 업무를 시작했다. 우리도 한국판 미 항공우주국(NASA)을 통해 스페이스X와 같은 세계적인 우주기업을 육성할 기반이 마련됐다.

전 국민의 관심이 집중된 우주청의 출범을 맞아 윤 청장 이하 노경원 차장, 존 리 우주항공임무본부장 등 우주청 간부와 직원들은 긴장한 모습이었지만 미래 한국의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결연한 의지가 엿보였다. 경남과 사천지역에서도 우주청의 개청을 환영하며 지역 발전에 기여해줄 것을 기대했다.

우주청은 NASA를 목표로 지난 1월 국회를 통과한 특별법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흩어진 우주항공분야 정책·사업 담당 정부 조직을 일원화해 출범했다. 영문 약칭은 KASA(Korea AeroSpace Administration)다.

우주청의 정원은 293명이지만 이날 출범에 함께한 인원은 110명이다. 공무원과 임기제 공무원이 각각 절반 정도씩 차지한다. 공무원들은 이미 지난 주말 개청작업을 위해 출장 형식으로 개청 작업을 진행했다. 우주청은 올해는 조직 정비를 위한 원년으로 삼고, 연말까지 정원을 채우기 위해 전 부처를 상대로 전입 공고를 내고 민간인 채용도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국장급 인원 등에 대해서도 채용을 위한 후보자 수요조사를 진행하는 중이다.

우주청은 기획조정관실과 우주항공정책국, 우주항공산업국 등 3국을 두고, 임무본부장 산하에 우주수송부문, 인공위성부문, 우주과학탐사부문, 항공혁신부문 등 4국을 두는 등 모두 7국 27과를 갖췄다. 이들 임무본부는 재사용발사체 프로그램, 한국형위성항법(GPS) 개발 프로그램, 달착륙선 프로그램, 미래항공기 프로그램을 담당한다.

정책은 우주항공청이 수립하지만, 실질적인 우주분야 연구개발은 국가기술연구회(NST)에서 우주항공청으로 이관되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이 담당할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항우연과 천문연 간 역할 재정립과 우주항공청과의 관계를 명확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양 연구원의 후임 연구원장 선임도 서둘러 마무리할 필요가 있다.

전 세계 각국이 민간 우주산업 육성에 주력하고 있는 만큼 우주청 역시 민간기업과의 협력과 지원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스페이스X와 같은 민간 우주기업 양성을 이뤄내는 것은 '뉴스페이스' 시대에 출범한 우주항공청의 핵심 임무이다.

김민석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부회장은 "지금까지는 우주산업을 정부가 주도해왔지만, 민간이 우주산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책을 다각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종민 기자 cinq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