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中日 언론 “3국 정상궤도 오르는 신호” “한일 셔틀외교 본격 부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본과 중국 언론들은 26일 서울에서 1박 2일 일정으로 개막한 한·중·일 정상회의 소식을 비중있게 보도하며 이번 회의 결과가 향후 동북아 정세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주목했다.

조선일보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대통령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대면으로 10번째 만나는 한·일 정상회담보다는 그동안 대립 관계를 지속했던 중·일 정상회담을 보다 비중 있게 보도하고 있다. 한·일간 현안인 ‘라인야후 사태’에 대해서도 별다른 보도가 나오고 있지 않다.

26일 일본 NHK는 윤석열 대통령이 한일 정상회담에서 “정상화 60주년이 되는 내년에는 양국 관계가 한층 비약할 수 있는 역사적인 전기가 될 수 있도록, 기시다 총리와 내가 마음을 합쳐서 준비해나가고 싶다”고 한 발언을 보도했다. 또 기시다 총리가 회담 직후에 자국 기자단에 “전체적으로 일·한 관계를 더욱 앞으로 전진시킨다는 강한 생각을, 나와 윤 대통령간의 사이에 다시 공유할 수 있는 매우 유의미한 회담이었다”고 말했다고도 전했다. 마이니치신문도 “반년만의 일·한 정상회담”이라며 “양국 정상이 상호 왕래하는 ‘셔틀 외교’를 부활하기로 2023년 3월에 합의하고 그대로 이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으로도 셔틀 외교를 지속하겠다”는 기시다 총리의 발언도 전했다. 요미우리신문과 아사히신문도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의 ‘정상화 60주년 발언’과 ‘셔틀 외교’를 주요하게 다뤘다.

현안인 ‘라인야후 사태’에 대해선 일본 언론들의 온라인 보도에선 주요한 이슈로는 다뤄지고 있지 않다. 일본 산케이신문은 “윤석열 대통령이 ‘양국간 현안이 되지 않도록,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했다”고 보도했다. 라인야후 사태에 대한 기시다 총리의 발언은 따로 보도하지 않았다. 산케이신문만 보면 윤 대통령이 ‘한국 네이버측 책임을 인정하고, 제대로 관리해야한다’는 발언을 한 것처럼 오해할 수 있는 보도다. 산케이신문은 또 “두 정상은 탄도미사일 등 발사를 지속하는 북한을 염두에 두고, 지역 질서 안정을 위한 협력 강화에 ‘중국의 적극적으로 관여할 것’을 요청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조선일보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중 양자회담에서 리창 중국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매체들은 27일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에 대한 의미 부여에 더욱 관심을 보이는 모습이다. 중국신문망은 26일 전문가를 인용해 “중일한 3국 정상회의는 디커플링과 공급망 배제, 경쟁과 충돌 등 바람직하지 않은 국제 현상에 대한 대응”이라면서 “첨단 기술 분야, 특히 반도체 개발과 생산에서 3국의 협력이 무척 중요하다”고 했다. 또 “중일한은 같은 해역에 속해 있으니 3국은 이 바다를 아름답고 평화롭게 만들도록 협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했다.

중국 유력 매체 펑파이는 한국이 3국 정상회의를 주도적으로 재개한 이유를 미국 우선주의 외치는 트럼프 정권 출범 대비, 대(對)중국 수출 개선 필요성, 총선 실패 후 외교 노선 조정 등으로 분석하면서 “윤석열 정권 출범 이후 미국은 일본 한국을 유인하고 끌어들여 일본과 한국이 관계를 개선하여 미일한 3국 협력 메커니즘 구축을 가속화했다”면서 “미일한 3국이 준동맹관계를 형성한 것이 객관적으로 중일한 협력 발전을 막는 요인이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3국 회의는 경제 민생 문제부터 협력을 재개하는 실용적 만남”이라면서 “3국이 다시 정상궤도에 오르는 신호”라고 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26일 윤석열 대통령과 리창 중국 총리와의 양자 회담을 보도하면서 한국과 경제·공급망 협력 확대의 뜻을 드러냈다. 이 매체에 따르면 리창은 “중한수교 30여년 동안 양국 관계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경제·무역 협력이 풍부한 성과를 거둔 덕분에 양국 국민에게 확실한 복지를 가져다주었다”면서 “양국 우호 신뢰의 큰 방향을 지키길 바란다”고 했다. 또 “중한 산업 공급망은 깊이 엮여 있고 경제·무역 협력 기초는 튼튼하고 잠재력이 거대하니 양측이 함께 손잡고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협력을 확대하자”면서 2015년 12월 발효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2단계 협상, 신에너지·AI(인공지능)·바이오·지방·교육·체육·언론·청소년 등 분야의 교류를 언급했다. 또 윤 대통령이 “한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견지하고, 이런 입장은 바뀌지 않았다”며 “과거처럼 흔들림 없이 한중 관계 발전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는 중국 측이 한국 정부의 양안(중국과 대만) 관계 기본 입장인 ‘하나의 중국 존중’을 중국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도쿄=성호철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