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137명 숨진 칠레 산불…소방대원과 전 산림공단 직원이 범인이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지난 2월 2일 칠레 비냐델마르에서 집과 차량들이 불타고 있다. 태평양 연안 발파라조 인근을 휩쓴 당시 산불로 137명이 숨졌다. 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월 칠레에서 137명이 희생되는 대형 산불이 자원봉사 소방대원과 전 산림공단 직원 두 명이 낸 방화였다는 조사 결과가 최근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칠레 사법당국은 지난 2월 태평양 연안 도시 발파라조 인근 산에 불을 낸 혐의로 자원봉사 소방대원 프란치스코 몬다카(22)와 전 산림공단(CONAF) 직원 프랑코 핀토를 구속 수사하고 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25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사건을 담당하는 주임 검사는 “주범 용의자인 몬다카의 차량에서 조명탄과 폭죽 등 방화도구를 찾아냈다”며 “그가 실제 처음 불을 낸 사람”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용의자인 핀토는 함께 방화를 공모한 혐의를 받고 있다. 발파리조 지방검찰청의 다른 검사는 “용의자 두 사람이 미리 날씨 조건이 좋으면 이런 종류의 방화를 하기로 합의했다는 증거를 수사관들이 찾아냈다“고 말했다.



이들의 범행 동기에 대해선 검찰 관계자들은 “경제적 동기가 배후에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도 “더 자세한 것은 추가 수사가 필요하다”고 말을 아끼고 있다. 수사 당국은 또 이들 말고도 범행에 연루된 이들이 더 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발파라조 지방소방소 소장인 빈센테 마지올로는 “우리는 이런 상황에 매우 놀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일은 개별적인 우발 사건”이라며 “우리 소방청의 일이 폄훼되어선 안된다. 우리는 170년 넘게 소방 업무로 봉사해왔다”고 말했다.



당시 산불은 지난 2월2일 발파라조 인근 자연보호 구역에서 시작되어 며칠 동안 건조한 날씨와 강풍에 급속히 번져나갔다. 그 결과 137명이 숨지고 집과 건물 1만6000채가 불타 잿더미가 됐다. 칠레에선 2010년 2월 규모 8.8의 지진으로 500명이 숨진 이후 최대 재앙으로 여겨지고 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