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중국 “탱크 속 오염수와 원전 토양도 조사 필요”…일본 거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탱크에 보관 중인 방사성 물질 오염수.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과 일본이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바다 방류와 관련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쪽이 다각적인 안전성 검증을 위해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의 성분 조사 등을 요구했고, 일본 쪽은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요미우리신문은 26일 올해 두 차례 중-일 전문가 협의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중국 쪽이 원전 주변 토양과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의 성분 등 조사 범위를 확대해 달라고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일본 쪽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기준에 따라 필요한 조사를 하고 있다며 거부했다고 덧붙였다.



중-일은 오염수 방류를 놓고 지난 1월에 이어 3월에도 전문가 협의를 진행했다. 중국 쪽은 이 자리에서 안전성 검증을 위해 △후쿠시마 제1원전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의 성분 조사와 함께 △오염수 방류 뒤 모니터링 해역을 더 넓히고 △원전 주변의 토양도 살펴봐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중국이 원전 탱크에 있는 오염수 성분 조사를 요구한 것은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원전 탱크에는 알프스로 1회 정화한 오염수가 보관돼 있다. 이 가운데 70%는 여전히 인체에 치명적인 방사성 물질이 기준치 이상 포함돼 알프스 성능에 논란이 있는 상태다. 과학자들은 도쿄전력이 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의 성분을 제대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여러 차례 비판을 해왔다.



원전 주변 토양조사를 요구한 것은 오염수 누출 사고의 영향 때문으로 추정된다. 지난 2월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오염수 5.5t이 누출돼 토양에 스며들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도쿄전력은 이 토양을 수거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제대로 검증은 이뤄지지 못했다.



이에 대해 일본 쪽은 국제원자력기구 기준에 따라 조치를 하고 있다며 중국 쪽 요구를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쪽은 중국·한국 전문가를 포함해 국제원자력기구 조사단이 정기적으로 상황을 확인하고 있고, 일본도 별도로 바다나 어류 등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8월 오염수 방류 이후 국제원자력기구를 앞세워 주변 국가의 요구를 거의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이날 오후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서울을 방문한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양자 회담도 난항이 예상된다. 기시다 총리는 리 총리를 만나 지난해 8월부터 시작된 일본산 수산물 전면 수입 금지를 철회해 달라고 요구할 방침이다. 하지만 중-일 전문가 협의에서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양쪽이 만난다고 해도 성과가 나오기 쉽지 않은 분위기다.



중-일 정부는 양국 정상의 서울 회담에 앞서 사전 협의를 위해 이달 중순 왕이 중국 외교부장(장관) 겸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과 가미카와 요코 외무상의 만남을 모색했으나 오염수 문제로 결국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요미우리신문에 “중국 쪽은 처리수 문제를 진전시키려는 의사가 느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16일 베이징에서 발표한 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바다 방류와 관련해 ‘핵오염수’라고 명시하며 “중-러는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 관계국도 독립적인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존중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도쿄/김소연 특파원



dandy@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