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작년엔 일단 쏘고 봤는데, 북한이 달라졌다…푸틴 기술자까지 초빙, 정찰위성 완성도 높이기 총력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를 돕기 위해 러시아 기술진이 대거 방북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26일 러시아 기술진의 검증 기준을 맞추기 위해 북한이 엔진연소 시험을 예상보다 훨씬 많이 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앞서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2호기 발사를 준비하는 정황이 포착된 가운데, 실제 발사가 이뤄지면 러시아의 지원을 등에 업고 이전보다 향상된 발사체의 엔진 성능을 과시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고위 관계자는 “지난해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초조함 때문에 일단 쐈는데, 지금은 완전히 성공해야 한다는 것 같다”며 “러시아 기술자들이 푸틴 대통령의 지원 공언 이후 대거 (북한에) 들어왔는데, 이들의 합격 기준이 높은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평안북도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엔진 지상 분출 시험을 진행해왔다. 관련 정황이 보도된 것만 지난달 이래 3번으로, 노출되지 않은 시험도 다수 있었던 것으로 정부는 파악하고 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해 궤도에 올려놓았고,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해 연말 당 전원회의에서 2024년 3기의 추가 발사계획을 발표했다.

지난해 5월과 8월 두 차례 실패를 딛고 2전 3기 끝에 위성 발사에 성공한 점을 고려할 때 올해 3기를 추가로 쏘려면 늦어도 4월에는 첫 위성 발사를 시도하리라는 관측이 많았지만, 엔진연소 시험에 시간이 더 걸려 최근에야 위성발사장에서 발사체 궤적 추적·계측·평가 장비 등이 우리 군 감시에 포착됐다.

이에 오는 27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일중 정상회의, 31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는 아시아 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 등을 계기로 북한이 위성 발사에 나서리라는 관측이 나온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