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소요 사태’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서 교민 6명 철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22일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의 둠베아 쉬르 메르의 쇼핑몰 앞에서 경찰들이 시위대를 막고 있다. 둠베아 쉬르 메르/EPA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외교부는 대규모 소요 사태가 발생한 태평양 내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영어명 뉴칼레도니아)에서 최근 한국 국민 6명이 안전하게 철수했다고 26일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정부는 지난 25일 누벨칼레도니 수도 누메아에서 철수를 희망한 국민 6명 전원이 프랑스 정부의 협조를 통해 항공편으로 안전하게 철수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며 ”앞으로도 정부는 누벨칼레도니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의 안전을 위해 다양한 조치를 계속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누벨칼레도니는 프랑스를 지지하는 세력과 분리독립을 선호하는 세력의 물리적 충돌이 격화하면서 최근 심각한 사회적 혼란에 빠졌다.



프랑스는 1853년 누벨칼레도니를 식민지로 병합했지만 1988년 마티뇽 협정과 1998년 누메아 협정을 통해 누벨칼레도니에 상당 부분 자치권을 이양했다. 누메아 협정에 따라 프랑스는 헌법에서 누벨칼레도니 지방 의회 선출 선거인단을 1999년에 정한 유권자 명부로 한정했고, 이 협정 이후 프랑스 본토나 다른 곳에서 이주한 이에게 투표권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프랑스 정부가 헌법을 개정해 누벨칼레도니에서 10년 이상 거주한 이주자에게도 투표권을 주는 방안을 추진하자, 전체 인구 28만명 중 약 40%를 차지하는 원주민 카나크족이 유권자 확대가 친프랑스 정치인에게만 유리한 정책이라고 반발하고 나섰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지난 23일 현지를 방문해 논란이 된 유권자 확대안을 현 상황에서 강행하지 않겠다며 일단 한발 물러선 상태다.



박민희 선임기자 minggu@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