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국회의장 "상임위원장 '野 11대 與 7' 합당"[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민주 18개 독식, '여당 지지' 총선 민심 침해"

"여당, '소수당'이라고 책임 덜어지지 않아"

"조만간 머지않은 시간 안에 결론 낼 것"

아이뉴스24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제22대 국회 원 구성 관련 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06.17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이뉴스24 김주훈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이 17일 여야 원 구성 협상과 관련해 "조속히 원 구성을 마치는 것이 최선의 길"이라고 촉구했다. 우 의장은 상임위원장 배분을 의석수에 따른 여야 각각 7곳, 11곳이 합당하다고 판단했다.

우 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현재로선 상임위원장 배분을 11대 7로 정하고 원구성을 마치는 것이 최선이라고 판단하지만 오래 기다릴 수는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간 국회의장 중재 하에 여야 원내대표 간 여러 차례 깊은 접촉과 밀도 있는 대화가 오갔다"며 "그간의 과정과 국민 눈높이를 종합적으로 살필 때, 상임위원장 배분은 원내 제1당 11개, 2당은 7개가 합당하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석수에 따른 상임위원장 배분이라는 원칙에 부합하고 무엇보다 국민은 여야가 함께 국회를 운영하는 모습을 바람직하게 여긴다는 점을 무겁게 받아들인 판단"이라면서 "국회의 원 구성이 국민의 권리를 침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야당이 18곳 상임위원장을 독식할 수 있다는 관측에 대해선 "더불어민주당이 18개 상임위원장을 모두 맡는다는 것은 지난 총선에서 국민의힘을 지지한 국민의 권리를 침해하는 결과가 될 수 있다"며 "의석수를 보더라도 신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6월 임시국회를 국회법에 따라 운영하려면 남은 시간이 제한적"이라면서 "시간이 많지 않은 만큼, 조속히 상임위 구성을 마쳐야 하고 여야가 빨리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우 의장은 "여야 모두 시급히 처리해야 하는 법안이 많고 결산심사와 인사청문회 등 예정된 국회 일도 다가오고 있다"며 "이제는 일하는 국회의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드려야 한다"고 했다.

의사일정 전면 보이콧을 선언한 여당을 향해선 "여당은 집권당 국정을 책임지는 정당인 만큼, 책임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국회와 정부가 협력해야 하지만 대통령제에서는 그 권한은 정부가 훨씬 큰 만큼, 여당이 소수당이라는 사실이 책임을 덜어내는 이유가 되긴 어렵다"고 지적했다.

우 의장은 "국민 여러분에게 거듭 송구하다"며 "의장으로서 최대한 빠르게 국회가 개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테니, 여야 협상이 종료된 상황이 아닌 만큼 조금만 더 지켜봐 주길 부탁드린다"고 했다.

다만 우 의장은 원 구성 관련 협상 마무리 시점, 중재 방향성 등 민감한 부분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여야에 언제까지 원구성을 마무리하라고 한 시한이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조만간 머지않은 시간 안에 결론을 내려고 한다"고 했다.

원구성 중재 방향성에 대해선 "여야가 협상해야 할 문제인 만큼, 협상을 지켜보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조속히 여야 간 합의를 해서 국회가 파행으로 가지 않도록 여야 원내대표에게 촉구하는 것"이라며 "6월 국회를 지키겠다"고 말했다.

현재 더불어민주당은 △운영위원장 △법제사법위원장 △교육위원장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행정안전위원장 △문화체육관광위원장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 △보건복지위원장 △환경노동위원장 △국토교통위원장 △예산결산특별위원장 등 11곳에 상임위원장을 확보했다.

국민의힘은 법사위원장을 확보하기 전까진 원 구성 협상에 임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우 의장과 야당은 정무위원장을 비롯해 기획재정위·외교통일위·국방위·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정보위·여성가족위 등 7곳을 여당 몫으로 가져가라고 압박하고 있다.

/김주훈 기자(jhkim@inews24.com)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