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막 오르는 한일중 정상회의…尹, 26일 한일·한중 연쇄 회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尹대통령 리창·기시다 총리와 각각 회담

27일에는 정상회의…6대 중점 분야 논의

아시아경제

지난해 11월16일(현지시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샌프란시스코 한 호텔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악수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일·중 정상회의가 26~27일 서울에서 열린다. 2019년 12월 중국 청두에서 제8차 회의가 열린 이후 4년5개월 만이다. 이번 회의를 통해 3국 간 관계가 완전히 정상화돼 경제 등 협력 체제가 강화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정상회의 첫날인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리창 중국 총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각각 양자 회담을 개최한다.

한중 양자 회담에서는 양국 간 전략적 소통 증진, 경제 통상 협력 확대, 중국 내 우호적 투자 환경 조성, 인적 문화교류 촉진, 한반도 정세를 포함한 지역 및 글로벌 현안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또 한일 양자 회담에서는 한반도 정세, 한·미·일 협력과 인도·태평양 지역을 포함한 역내·글로벌 협력 방안 등이 안건에 오를 전망이다. 특히 일본과는 최근 논란이 된 네이버 라인야후 지분 매각 압박 사태가 논의될 가능성도 있다.

양자 회담 이후 윤 대통령은 한·일·중 3국 대표단이 참석하는 공식 환영 만찬을 주재한다.

27일 오전에는 한·일·중 정상회의를 연다.

회의에서는 인적 교류, 기후변화 대응 협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 도모, 경제 통상 협력, 보건 및 고령화 대응 협력, 과학기술 디지털 전환 협력, 재난 및 안전 협력 등 6가지 중점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논의 결과는 3국 공동 선언에 포함돼 발표할 예정이다.

아시아경제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화상으로 참석한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상회의 대다수 시간은 경제·민생 관계와 무역·공급망 협력, 투자 활성화 방안 등에 할애될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비핵화와 남북관계 등 민감한 현안은 공식 의제에서 빠졌다. 짧은 시간 안에 합의하기 힘든 주제보다는 경제, 인적교류 등 협력 방안에 더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3국 간 관계가 개선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최근에는 미·중 갈등 심화와 한·미·일 대 북·중·러 구도 강화 등으로 한·중·일 사이 경색된 관계가 이어졌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은 "이번 정상회의는 세 나라가 협력 체제를 완전히 복원하고 정상화하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며 "3국 국민이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이고 실질적인 협력 모멘텀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회의 뒤 한·일·중 정상의 공동 기자회견도 열릴 것으로 보인다. 이후에는 3국 정상이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해 각각 연설하고 경제인들을 격려한다.

한·일·중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윤 대통령의 정상 외교 일정이 본격화된다.

윤 대통령은 오는 28일 한국을 국빈 방문하는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을 만나고, 다음달 4~5일에는 서울에서 열리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소화할 예정이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