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강남만 오른 게 아냐" 강북도 집값 들썩…상승세 탄 서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지난 20일 기준 서울시 자치구별 아파트매매가격 주간변동률/자료=KB국민은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락세와 보합세를 이어오던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반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강북과 강남 모두 매매가격이 오른 건 7개월 만이다.

26일 KB부동산의 주간 아파트 시장동향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1% 올랐다. 직전 2주 동안 보합세를 유지하다 반년 만에 상승세로 바뀌었다.

강남과 강북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모두 오른 건 지난해 10월 셋째 주 이후 7개월 만이다. 두 지역 모두 전주보다 0.1% 상승했다. 강남 아파트 매매가격의 경우 지난해 11월 넷째 주부터 하락세가 지속하다 이달 첫째 주부터 상승세로 전환했지만 강북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해 10월 넷째 주부터 이달 둘째 주까지 계속 하락해왔다.

마포구(0.1%), 용산구(0.15%), 성동구(0.14%) 등 마용성 지역과 강남구(0.06%), 서초구(0.06%) 등 강남 지역의 매매가격이 오른 가운데 서대문구(0.09%), 중구(0.04%) 등 강북의 다른 지역에서도 매매가격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원구(-0.03%), 도봉구(-0.05%), 강북구(-0.07%) 등 노·도·강 지역의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떨어졌다.

서울 아파트의 전셋값은 전주보다 0.17% 올라 반년 이상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상승 폭은 전주(0.12%)보다 더 커졌다. 25개 자치구에서 모두 전셋값이 전주보다 높아졌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로 아파트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전세대란'이 현실화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한편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36.9로 집계됐다. 이 수치는 100을 기준으로 100 미만이면 매도자가 많음을 100을 넘으면 매수자가 많음을 뜻한다. 전주보다 4.8포인트 상승했지만, 여전히 매수자가 우위에 있다. 서울 전세수급지수는 136.4로 조사됐다. 전주보다 1.8포인트 줄었지만, 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상황이다.

이용안 기자 king@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