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북, 군사위성 발사 준비 징후…한·중·일 정상회의 앞두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북한은 지난 2023년 11월22일 전날 밤 발사한 군사정찰위성 1호기 만리경-1호의 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은 2023년 11월21일 22시 42분 28초에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성공적으로 발사했다”고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오는 26∼27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를 앞두고 군사정찰위성 2호기 발사를 준비 중인 정황이 군 당국에 포착됐다.



군 당국자는 24일 “최근 북한 동창리 일대에서 북한이 주장하는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하는 준비로 추정되는 정황들이 식별되고 있어 한·미 정보당국이 관련 동향을 면밀히 감시·추적하고 있다”고 말했다. 평북 철산군 동창리에는 북한 서해 위성발사장이 있다. 그는 “최근 차량, 인원 등이 증가한 정황이 포착됐다”며 “그동안 (북한 군사정찰위성의) 임박한 발사 징후가 없다고 했는데 앞으로는 그런 말을 쓰지 않으려 한다”고 설명했다. 동창리에서는 위성 발사 후 발사체 궤적 등을 추적·계측·평가를 준비하는 움직임이 잡힌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군 당국자는 “다만 북한이 당장 쏠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보통 위성 발사체가 발사대에 세워져 있으면 발사가 임박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북한은 지난해 3차례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하기 전 국제해사기구(IMO) 등에 발사 예정 시간과 예상 궤적을 사전 통보했다. 전례에 비춰보면 이번에도 발사 직전 이 통보를 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기상 상황 등을 고려해 이르면 다음 주 안에 위성 발사체를 쏠 가능성이 있다. 26~27일 서울에서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릴 예정이라, 이 회의 기간이나 직후에 북한이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하면 국제사회에서 파장이 커질 수 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2차례 실패 끝에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쏴 궤도에 위성을 올렸다. 국방부는 이 위성이 사진 촬영 전송 등 정찰위성으로서 제 기능을 발휘하진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올해 3기의 군사정찰 위성을 발사하겠다고 밝혔는데, 아직 첫번째 위성을 쏘지 않은 상태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