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단독]넥센, 캐나다 사업 ‘재판매’로 전환…점유율 확대 노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1분기 ‘넥센타이어 캐나다’ 청산

넥센타이어 캐나다 코퍼레이션에 이전

기존 커미션 방식 대비 높은 수익 기대

미국 생산 거점과 시너지 효과 극대화

이 기사는 2024년05월24일 13시18분에 마켓인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이데일리 마켓in 이건엄 기자] 넥센타이어(002350)가 북미 지역 투자에 발맞춰 캐나다법인 판매 방식을 커미션(Commission)에서 재판매로 전환한다. 북미 투자로 공급망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수익성이 높은 재판매 방식을 도입해 지속가능성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이데일리

넥센타이어 마곡 사옥 전경. (사진=넥센타이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넥세타이어는 캐나다 지역 판매 방식을 기존 커미션에서 재판매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해 현지 법인인 넥센타이어 캐나다(Nexen Tire Canada Inc.)를 청산했다. 앞으로 넥센타이어의 캐나다 사업은 재판매 인프라를 갖춘 넥센타이어 캐나다 코퍼레이션(Nexen Tire Canada Corporation)이 모두 담당한다.

커미션방식은 판매자가 제품을 직접 구매하지 않고, 판매 계약이 이뤄질 때마다 수수료를 받는 판매 방식을 뜻한다. 판매자인 캐나다법인이 재고를 떠안지 않고 마케팅과 판매 활동에만 집중하면 되기 때문에 넥센타이어는 효율화 차원에서 커미션 방식을 고수해 왔다.

반면 재판매 방식은 회사가 직접 재고를 보유함으로써 더 높은 유연성을 확보하고 제품의 가격과 마케팅 전략을 주도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재고가 쌓이는 만큼 관리에 따른 비용과 위험 부담이 커미션 방식 대신 크지만 높은 마진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커미션 방식에서는 본사의 수수료 정책에 따른 커미션 수익에 의존하기 때문에 수동적일 수밖에 없다.

이처럼 넥센타이어가 캐나다 판매 방식 전환에 나선 것은 북미지역 투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추후 북미지역에 생산 거점이 들어서게 되면 커미션 방식보다는 높은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재판매 방식이 더 적합하다는 설명이다.

앞서 넥센타이어는 지난해 중장기 투자전략의 일환으로 북미 공장 설립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미 지난해 하반기 미국 동남부 지역 8개 주를 중심으로 부지 선정 절차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넥센타이어는 하루 3만여개의 생산능력을 갖춘 공장을 이르면 오는 2028년부터 가동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법인 전환이 넥센타이어가 시장 지위를 강화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현지 공급망과의 연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도 극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넥센타이어의 이번 전환으로 초기 자본 투자와 재고 관리 부담을 수반하지만 시장 경쟁력 강화가 예상된다”며 “판매 가격과 구매 가격의 차익을 통해 더 높은 수익은 물론 시장점유율 확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와 관련 넥센타이어 관계자는 “판매 방식 변경을 위해 기존 법인을 청산한 것”이라며 “현지 법에 따른 조치일 뿐 다른 의미는 없다”고 설명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