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더 벌었는데 고물가에 털렸다…가계 실질소득 3년만에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분기 월소득 512만원…인플레 감안땐 -1.6%

처분가능소득 1.4% 증가…흑자액 2.6% 감소

뉴스1

1분기 가계동향 조사 결과(통계청 제공). 2024.5.23/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이철 기자 = 올해 1분기 가계의 소득이 증가했으나, 물가 상승을 반영한 실질소득은 3년 만에 감소로 전환했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12만 2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

분위별로는 5분위를 제외한 모든 분위에서 소득이 늘었다. 소득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5만 7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6% 증가했다. 소득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25만 8000원으로 2.0% 감소했다.

소득 항목별로는 경상소득이 504만 1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다. 근로소득은 329만 1000원(-1.1%)으로 감소한 반면 사업소득은 87만 5000원으로 8.9% 늘었다. 이전소득도 81만 8000원으로 5.8% 증가했다.

보험금, 경조소득 등 비경상소득은 8만 1000원으로 28.2% 감소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근로소득의 경우 취업자나 고용 상황은 좋아졌다"며 "다만 소득 5분위에서 근로소득이 줄었고, 항목별로는 급여는 증가했는데 상여금에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소비자물가 지수를 반영한 실질소득은 전년 대비 1.6% 감소했다.

이에 따라 1분기를 기준으로 한 실질소득은 2021년 1분기 이후 3년 만에 감소로 전환됐다. 1.6% 감소율은 2017년 1분기(-2.5%) 이후 최저치다.

뉴스1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이 2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1/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2024.5.23/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분기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3.0% 늘었다.

품목별로는 △식료품·비주류음료(7.2%) △음식·숙박(5.8%) △오락·문화(9.7%) 등에서 지출이 증가했다.

반면 △교통(-1.0%) △기타상품·서비스(-0.6%) △통신(-0.7%) 등은 감소했다.

이 과장은 "식료품과 음식·숙박 지출 증가는 주로 물가 상승의 영향이 커 보인다"며 "오락·문화 지출의 경우 해외여행이 포함된 단체여행비에서 많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물가를 고려한 1분기 실질 소비지출은 지난해와 같은 수준을 보였다.

이 과장은 "실질 소비지출 증가율은 1분기 기준으로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1분기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107만 6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다.

비소비지출은 경상조세(-6.5%) 지출은 감소했으나 이자비용(11.2%), 비영리단체로 이전지출(7.9%) 등에서 증가했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차감한 처분가능소득은 500만 7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증가했다.

흑자액은 113만 8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의 구성 비율을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은 71.9%로 전년 동기 대비 1.2%포인트(p) 올랐다.

소득분배를 보여주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집계한 소득 5분위 배율은 5.98배로 전년 동기(6.45배) 대비 0.47배p 줄었다. 5분위 배율이 줄어들면 1분위와 5분위의 격차가 줄어들어 분배가 개선됐다는 의미다.

iro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