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공식 출범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해병대 제3자 “나도 VIP 격노설 들었다”…공수처, 추가 진술 확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수처, 관계자 참고인 조사

“지난해 8월1일 내부 회의서

사령관으로부터 해당 발언 들어”

김계환, 1차 때와 마찬가지로 부인

경향신문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왼쪽 사진)과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지난 21일 해병대 채모 상병 사망사건의 수사외압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경기 과천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로 들어서고 있다. 문재원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최근 해병대 고위 관계자로부터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에게서 VIP(윤석열 대통령) 격노설을 들었다’는 취지의 발언을 확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 외에도 VIP 격노설을 들은 간부가 추가로 더 나오면서 해병대 채모 상병 사망사건의 윗선 외압 의혹 수사의 국면이 바뀔지 주목된다.

22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공수처는 최근 해병대 고위 관계자에 대한 참고인 조사에서 이 같은 진술을 확보했다. 박 대령만이 아니라 또 다른 해병대 관계자도 김 사령관으로부터 윤 대통령의 격노 취지의 발언을 들었다고 진술한 것이다. 이 관계자는 지난해 8월1일 해병대 내부 회의에서 김 사령관으로부터 해당 발언을 들었다고 했다.

VIP 격노설은 채 상병 사망사건 수사외압 의혹과 대통령실을 연결하는 첫 번째 관문이다. 앞서 박 대령은 김 사령관이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에 대해 “국방부에서 경찰 인계 서류에 혐의자와 혐의 내용을 빼라고 한다”며 “대통령실 회의에서 VIP(윤 대통령)가 격노하면서 (국방부) 장관과 통화한 후 이렇게 됐다”고 말했다고 주장했다. 당시 “정말 VIP가 맞느냐”고 재차 묻자 김 사령관이 고개를 끄덕였다는 것이 박 대령의 주장이다.

그간 복수의 해병대 수사단 관계자들은 국방부 검찰단(군 검찰)에서 조사 받는 과정에서 박 대령으로부터 “(윤 대통령이) 이런 일을 갖고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나’라고 말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공통되게 진술했다.

김 사령관은 박 대령 측 주장에 대해 반박하고 있다. 본인은 VIP 격노설에 대해 발언한 사실이 없다는 것이다. 김 사령관은 1차 조사에 이어 지난 21일에 있었던 2차 조사에서도 이 같은 발언을 한 사실이 없다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한다.

공수처 수사팀은 전날 2차 조사에서 해병대 고위직 관계자의 진술을 김 사령관에게 알리며 추궁했지만 김 사령관은 1차 조사와 마찬가지로 부인했다고 한다. 이에 공수처가 해당 진술을 근거로 박 대령과의 대질 신문을 요구하자 김 사령관은 “대질을 시키면 조사실에서 나가겠다”며 항의했다고 한다.

공수처는 오후 9시쯤에도 박 대령과 김 사령관에 대한 대질조사를 시도했지만 김 사령관 측의 거듭된 반발로 불발된 것으로 전해졌다. 공수처에 따르면 김 사령관 측은 대질조사 거부 사유에 대해 “해병대를 책임지고 있는 최고 지휘관과 부하가 대면해 시시비비를 가리는 것은 해병대에 더 큰 상처를 준다”며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는데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어 대질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공수처는 해병대 고위 관계자의 진술을 바탕으로 채 상병 수사에 대한 대통령실의 개입 정황을 파악하는데 속도를 낼 전망이다. 공수처는 현재까지 해병대 수사단 관계자들과 해병대 수사단으로부터 당시 사건을 이첩받은 경북경찰청 관계자들에 대한 참고인 조사를 진행했다. 또 수사외압 의혹의 주요 피의자인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과 박경훈 전 국방부 조사본부 직무대리에 대한 조사도 진행한 상태다. 공수처는 국방부와 해병대 실무진들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하는대로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강연주 기자 play@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