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오늘의 사건·사고

“‘훈련병 사망’ 중대장, 구속 위기 내몰리자 사죄 문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구속영장 앞두자 훈련병 부모에 연속 사과…위기 피하려 ‘2차 가해’”

세계일보

지난 19일 오후 서울 용산역 광장 앞 육군 12사단 박모 훈련병 추모 분향소에 방문한 훈련병 부모가 시민들이 놓은 국화꽃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육군 제12사단에서 규정에 어긋난 군기훈련(얼차려)을 시키다 고(故) 박모 훈련병을 숨지게 한 혐의를 받는 중대장이 유족에게 뒤늦게 지속적으로 사과 문자를 보내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군기훈련이란 지휘관이 군기 확립을 위해 규정과 절차에 따라 장병들에게 지시하는 체력단련과 정신수양 등을 말한다. 지휘관 지적사항 등이 있을 때 시행되며 '얼차려'라고도 불린다.

육군은 완전군장 상태에서 구보(달리기)나 팔굽혀펴기(푸시업)를 시킬 수 없다는 취지의 관련 규정을 어긴 정황을 파악, 강원경찰청에 사건을 수사 이첩했다.

군인권센터는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중대장은 훈련병이 쓰러진 뒤 어머니와 전화할 때 죄송하다는 말 한번 한 적 없고, 빈소에도 찾아오지 않았다"며 "구속영장 신청을 앞둔 17일과 구속영장 청구를 앞둔 19일에 갑자기 어머니에게 '사죄를 드리기 위해 찾아뵙고 싶다'며 계속 문자메시지를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사죄 연락 한번 없던 중대장이 수사가 본격화되자 사죄를 운운하며 만나자고 요구하는 것은 구속 위기를 피하려는 속셈으로 의심된다"며 "유가족들은 중대장이 반복적으로 진정성 없는 사죄 문자를 보내는 데 대해 극심한 스트레스와 분노를 느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유족들은 중대장의 진정성 없는 사죄 문자에 극심한 스트레스와 분노를 느끼고 있으니, 중대장은 '사과받기'를 종용하는 2차 가해를 즉시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세계일보

육군 12사단에서 군기훈련을 받다 쓰러져 숨진 훈련병 동료들의 수료식이 지난 19일 오전 강원 인제군 인제읍 남북리 인제체육관에서 열렸다. 이날 수료식장 옆에 마련된 숨진 훈련병의 추모공간에서 참석자들이 추모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법조계에 따르면 춘천지법은 21일 오전 11시쯤 중대장 등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다. 이들이 영장실질심사 출석을 거부하지 않는다면 사건 발생 이후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범죄 혐의 소명과 함께 사안의 중대성, 증거인멸 및 도주 우려가 핵심 쟁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심문 결과는 내일 오후께 나올 것으로 보인다.

피의자들은 지난달 23일 강원도 인제군 12사단 신병교육대에서 훈련병 6명을 대상으로 군기훈련을 실시하면서 군기훈련 규정을 위반하고, 실신한 박모 훈련병에게 적절하게 조처하지 않은 과실로 박 훈련병을 숨지게 한 혐의를 받는다.

강원경찰청 훈련병 사망사건 수사전담팀은 지난 13일 첫 피의자 조사 후 닷새 만인 18일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경찰이 신청한 구속영장을 검토한 춘천지검은 구속할 만한 타당한 이유가 있다고 판단해 지난 19일 영장을 청구했다.

경찰은 소환조사 당시 그동안 조사한 기본적인 사실관계 내용을 바탕으로 두 사람의 군기훈련 규정 위반 혐의와 병원 이송과 진료, 전원 과정 등을 조사했다.

첫 소환조사 당시 피의자들은 오후부터 밤늦게까지 장시간 조사받았으며, 일부 사실관계에 대해서는 훈련병들의 기억과 다른 진술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지난달 23일 오후 5시 20분께 12사단 신병교육대에서 군기훈련을 받던 훈련병 6명 중 1명인 박 훈련병이 쓰러졌다. 박 훈련병은 민간병원으로 응급 후송돼 치료받았으나 상태가 악화해 25일 오후 사망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