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군중 압착’ 심정지 대응 위한 구급 장비 확충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경기도 의정부시 금오동 경기북부소방재난본부에서 지난 4월 2일 열린 경기북부 일반인 심폐소생술(CPR) 경연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내가 구조호흡을 하지 못해도 옆에 있는 구조자를 통해서 호흡구조를 충분히 지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출동할 때) 산소통과 백밸브마스크(BVM)를 많이 챙겨가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이태원 참사처럼 다수의 심정지 환자가 발생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산소통과 산소마스크와 같은 구급장비를 충분히 갖춰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최슬기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22일 소방청과 질병관리청이 주최한 ‘제7차 급성심장정지 구급품질 향상 워크숍’에서 ‘군중 압착으로 발생한 다수사상 심정지의 특성과 소생률 향상을 위한 현장 처치 방안’을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최 교수는 2022년 10월 29일 이태원 참사 당일 서울대병원 재난의료지원팀(DMAT)의 일원으로 현장에 출동했다. 최소 60명 넘는 심정지 환자가 보였고 일반인과 구급대원, 의료진이 뒤섞여 이들에게 심폐소생술을 펼치고 있었다. 하지만 심정지 상태에서 회생한 이는 단 한 명 뿐이었다.

이태원 참사는 군중 압착(crowd crush)으로 인한 재난이었다. 많은 사람이 작은 공간에 유입되면서 병목 현상이 나타났고, 빽빽이 들어선 군중이 앞에 있는 군중을 향해 밀려들면서 선두에 있는 사람은 가슴과 복부에 계속 압력을 받아 결국 압박성 질식에 이르렀다.

당시 목격한 참상은 이후 마음 깊이 남았다. 최 교수는 군중 압착으로 다수의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을 때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구급대원이 작성한 구급일지와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영상 등을 통해 당시 상황을 복기하고, 개선점을 찾아 나섰다.

먼저 심폐소생술(CPR)에 주목했다. CPR은 두 손을 깍지 끼고, 손바닥으로 가슴 정중앙을 1분에 100~120회 정도 반복해 눌러주는데, 인공호흡 없이 흉부압박만 하는 경우 ‘핸즈 온리 CPR’로 부른다.

전통적인 CPR은 인공호흡을 병행하는데, 최근에는 효과면에서 큰 차이가 없고 쉽게 배울 수 있는 ‘핸즈 온리 CPR’를 주로 권하고 있다.

하지만 최 교수는 군중 압착 사고의 경우 질식 환자가 많다는 점에서 압박성 심페소생술보다 저산소증 해소를 위해 인공호흡을 병행하는 전통적인 심폐소생술이 권장된다고 했다.

최 교수는 “군중 압착에서 발생하는 다수의 심정지 환자에 대응하기 위한 최적의 대비를 하고, 소생술 프로토콜도 개발해야 한다”면서 “특히 압착사고로 인한 외상성 심정지에선 저산소증 해소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전통적 CPR과 함께 산소통, 산소마스크와 같은 장비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이날 워크숍에는 최 교수 발표 외에 외상성 심장정지 상황에서의 현장대응 방안을 비롯해 익수 상황, 감전 상황 등 특수 상황에서의 심정지 생존율 향상 전략 등이 논의됐다.

119구급대원과 질병청의 연구원, 119구급대원의 심폐소생술로 생명을 구한 생존자들의 모임인 리본(Re:Born)클럽의 생존자 회원들이 참석했다.

주영재 기자 jyj@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