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민주, 국회 주도권 확보 '사활'…"지리한 협상 거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선도·책임·원팀국회'를 국회 운영 기조로"

"개혁·민생 돌파…법사위·운영위 확보 필수"

아이뉴스24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2일 오후 충남 예산군 스플라스 리솜에서 열린 제22대 국회의원 당선인 워크숍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4.05.22.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이뉴스24 김주훈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22일 22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본격적인 주도권 확보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특히 원구성 협상과 관련해 "과거 원구성에서 보였던 지리한 협상은 하지 않겠다"며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윤종군 원내대변인은 이날 충남 예산군 한 리조트에서 진행된 '22대 국회의원 당선자 워크숍' 브리핑을 통해 "정권의 독주를 견제하라고 하는 중대 선거의 의미가 있는 국민의 엄중한 표심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민주당 당선인들은 비공개로 진행된 '22대 개원국회 운영 전략' 세션에서 이번 국회에서 펼칠 전략과 기조를 의논했다. 박성준 운영수석부대표는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서 국제 정서와 국내 총선 민심을 분석했다.

윤 원내대변인은 이에 대해 "박 수석은 먼저 국제 정서를 짚으면서 탈냉전 시대에 실리외교 중심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윤석열 정부가 그렇게 하지 못하고 망국외교를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고 전했다.

이번 총선 민심과 관련해선 "역사가 최초로 야당 최초 단독 과반을 달성한 중대선거구의 의미가 있다"며 "22대 국회 방향으로 개혁과 민생을 위해서 과감히 돌파하는 민주당이 되겠다고 말했고, 이를 위해선 국회 법제사법·운영위원회 위원장 확보는 필수적 과제라고 진단했다"고 알렸다.

당은 여기에 맞춰 '선도·책임·원팀국회'를 국회 운영 기조로 삼고, 시급한 민생개혁에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5대 민생과제와 5개 개혁과제 총 10대 정책 입법 과제도 설정했다.

윤 원내대변인은 "5대 민생과제로서 민생회복지원금, 민생회복 긴급조치, 물가 안정, 주거 안정, 이전에 윤석열 정권이 거부권을 행사했던 법안을 재입법하는 것 등 5대 민생과제를 정리했다"고 설명했다.

5대 개혁과제에 대해선 "해병대원 특검법, 김건희 특검법, 검찰개혁, 언론개혁, 국정조사 등 5가지 카테고리로 개혁과제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민주당은 22대 국회 개원(5월 30일) 이후인 오는 6월 7일까지 국회법에 따라 원구성을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이다. 윤 원내대변인은 "민생과 외교가 전체적으로 비상상황인데, 과거 여의도 국회에 횡행했던 문법처럼 밀고 당기식 원구성, 지리한 밀고당기식 논란 등을 벌일 시기가 기본적으로 아니다"면서 "국회법을 준수해 속도감 있게 민심에 부응하는 개혁을 완성해가는 22대 국회를 만들겠다고 하는 것이 민주당의 22대 국회 전략기조"라고 강조했다.

윤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을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서도 마지노선으로 정한 기간까지 원구성을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그는 여당에 협상의 여지를 남기지 않을 경우 원구성 협상이 장기화될 가능성에 대해 "국회에서 정치하는 분들은 원구성 협상을 하면 자연스럽게 7월까지 이어지거나, 끌려다니거나 서로 간 밀당을 하는 등 기존 관행이 깔려있다고 인식한다"며 "저희는 이번 국회에 대해선 인식을 다르게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총선 결과는 중대선거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만큼, 과거에 했던 패러다임으로 임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며 "지도부는 오는 6월 7일까지 국회법을 준수해 원구성을 마무리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주훈 기자(jhkim@inews24.com)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