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한국, 글로벌 AI 협력 주도…AI 서울 정상회의 성공 개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AI글로벌 포럼이 22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열렸다. 이날 국내외 주요 인공지능(AI) 관련 기업들이 안전한 AI 사용을 위한 '서울 AI 기업 서약'을 발표했다. 서울 기업서약에는 삼성전자, 네이버, 카카오, LG AI 연구소, SK텔레콤, KT, 구글,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엔트로픽, IBM, 세일즈포스, 코히어, 어도비 총 14개 기업이 참가했다. 한덕수 국무총리와 조태열 외교부 장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참가기업 관계자들과 서울AI기업서약을 발표하고 기념촬영 하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이 인공지능(AI) 안전·혁신·포용을 기치로 세계 정상과 기업의 협력을 주도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된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서울선언문 등 국제 합의를 이끌어냈다. 글로벌 AI 거버넌스가 나아가야할 방향도 제시했다.

정부는 지난 2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AI 서울 정상회의'를 진행한데 이어 22일 서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AI 글로벌 포럼'을 개최했다.〈관련기사 4면〉

대한민국 정부와 영국 정부가 온라인방식으로 공동 개최한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안전과 혁신, 포용이라는 3대 AI 규범을 제안했다. 향후 국제적인 AI 개발에 있어 이같은 3대 규범을 필수적으로 고려하자는 내용의 '서울선언문' 합의를 도출했다. AI 안전 연구소 등 글로벌 AI 안전 거버넌스 논의도 탄력을 받게 됐다. 주요국 정상들은 '서울 의향서'를 통해 AI 안전 기관을 설립하고, 국제 네트워크를 구축하자고 합의했다. 삼성,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앤트로픽 등 글로벌 빅테크는 '프론티어 AI 안전서약'을 체결했다.

전자신문

AI글로벌 포럼이 22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열렸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이스트소프트의 AI스튜디오 '페르소'를 체험하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AI 글로벌 포럼에서는 구글, LG AI연구소, 세일즈포스, KT, 마이크로소프트, 삼성전자, 앤스로픽, SK텔레콤, IBM, 네이버, 코히어, 카카오, 오픈AI, 어도비 등 총 14개 기업이 '서울 기업 서약'을 발표했다. 서약은 AI가 생성한 콘텐츠를 워터마크로 식별 조치하고 국제표준 개발을 위한 협력 강화, AI 지속 가능한 발전과 혁신을 위해 시스템 개발과 전문인력 육성, 사회적 취약 계층을 위한 AI 서비스 출시 및 다양성과 포용성을 장려하는 내용을 담았다. 같은 장소에서 비공개로 열린 AI 서울장관회의 장관세션에과 전문가 세션에서도 주요국 AI 정책책임자와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한국이 제안한 AI 안전·혁신·포용이라는 3대 규범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정상회의를 통해 한국이 세계 AI 선도국 이미지를 확실하게 구축하고, 국제 협력 플랫폼을 주도한 것으로 평가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서울선언' 등 정상 간 첫 합의가 도출됐고 의제도 안전에서 혁신과 포용으로 확대되면서 AI 정상회의는 포괄적인 AI 거버넌스를 논의하는 유일한 정상급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고 말했다.

전자신문

AI글로벌 포럼이 22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열렸다. 앤드류 응 AI펀드 매니징 제네럴파트너가 기조연설 하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