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SKIET, 고체 전해질 개발 '황화물계'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가 신사업 아이템인 고체 전해질을 황화물계 방식으로 개발하는 방향을 추진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SKIET는 복수의 소재 업체들을 대상으로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을 평가할 예정이다.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개발을 위해 최적의 소재가 무엇인지 탐색하는 과정으로, 올해 연말까지 공급사 선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연말에 소재 검증이 끝나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개발로 가닥이 잡힌다면 내년 이후 본격 연구개발(R&D)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SKIET 주력 사업은 이차전지 분리막이지만, 회사는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고체 전해질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대체, 분리막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일본 토요타와 삼성SDI 등이 오는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목표로 R&D를 진행 중인 만큼 SKIET는 차세대 제품 대응을 위해 고체 전해질 개발이 필요하다.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인 고체 전해질 종류는 황화물계, 산화물계, 폴리머 등으로 구분된다. 이중 황화물계는 전극과 전해질 간 경계면을 넓힐 수 있어 리튬 이온 전도도가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국내 기업인 에코프로비엠, 포스코JK솔리드솔루션,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과 일본 이데미츠코산, 미국 솔리드파워 등이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을 개발 중으로, 황화물계가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SKIET는 모회사 SK이노베이션에서 독립한 I/E소재연구센터에서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개발을 추진한다. SKIET R&D 조직인 I/E소재연구센터는 SK이노베이션 산하 조직이었으나 최근 SKIET 소속으로 개편됐다.

SKIET 산하에서 이차전지 소재 기술력을 높이고, 생산·마케팅 등과 긴밀히 협업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겠다는 취지다. R&D 인력과 자산을 SK이노베이션에서 넘겨받은 만큼 차세대 배터리 소재 개발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호길 기자 eagles@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